학술논문
속담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이용수 52
- 영문명
-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Proverbs: Focuing Grammar and Meaning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경열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10호, 183~21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한국어 교육을 위해 활용되고 있는 속담의 통사·의미적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어 문법 교육에 속담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의사소통 능력 향상뿐 아니라 국어 문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본고는 현행 한국어 교재에 수록되어 있는 속담 중 2회 이상 중복되는 140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문법 교육과 의사소통 기능을 연계한 의미 교육으로 나누어 초급, 중급, 고급 단계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속담을 활용하여 교육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속담은 문화 교육뿐만 아니라 문법이나 의미 교육에 초급에서 고급까지 단계별로 활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에게 흥미를 갖게 할 수도 있고 나아가 부수적으로 한국 문화를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고 본다. 속담은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의 문화를 습득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또한 자신의 의사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한 방법이 되기 때문에 속담을 익히는 것은 한국어 사용 능력 향상에 매우 도움이 된다. 지금의 교육처럼 문화 교육에만 치우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본다. 따라서 문법과 의미를 연계하여 속담을 교육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proverbs by studying syntactic and semantic features of proverbs us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detailed purposes are to understand Korean grammar precisely. This thesis was aimed at 140 proverbs in Korean textbooks. Dividing these proverbs into the semantic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grammar education and communication ability, I examined how to educate the korean language using proverbs for beginning,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As a result I identified that proverbs can be used not only on culture education but also on grammar or semantic education from beginning level to advanced level. The proverbs are very helpful for Korean learner to acquire Korean culture. And also learning proverbs is very helpful to improve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hu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methods
목차
1. 서론
2. 속담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현황
3.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속담의 통사·의미적 특성
4. 속담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선 추적 결과물을 활용한 시각 자료 해석 교육
- 이동규의 ‘호동설화’ 모티프 역사극 <樂浪公主> 연구
- 문장 유형 교육 내 감탄문 설정 문제 검토
- 신토피컬 독서 후 토론 입론문에 나타난 초등학생의 담화 종합 양상 연구
-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어학습 동기와 학업성취에 관한 질적 연구
-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을 기초로 한 한국어교육학의 연구 영역
- 한국어교육에서의 말하기 과제에 관한 연구
- 속담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학교 안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한국어 교육과정>의 위상
-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전략 사용 양상 연구
- 초등 사회과 교과서의 학습읽기 전략 실태
- 한국드라마를 활용한 한국 속담 교육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