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교육에서의 말하기 과제에 관한 연구
이용수 94
- 영문명
- A Study on Speaking Task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on suggesting improvement direction and task model of speaking task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보은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10호, 247~279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언어 교육은 실제 언어 사용 능력을 중요시하고, 특정 맥락이나 상황 속에서 적절한 언어 수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이 있다. 이 연구는 최근의 언어 교육 현실에서 강조하고 있는 언어 사용 능력 향상과 관련하여 말하기 과제 개선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 하였다. 특히,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와 능동적인 과제 수행을 이끌어 내고 교실 현장과 교실 밖에 일상생활에서 유창한 언어 사용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과제 유형과 과제 수행 방법에 주안점을 두었다. 과제는 일상생활에서 접할 가능성이 높은 특정 맥락과 상황을 가정하여 의사소통 연습을 하는 수단으로써 교실 언어와 교실 밖 실제 생활의 언어를 매개하는 장치로써 중요한 기능을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대학 내 한국어교육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중급 교재에서의 말하기 과제 유형과 과제 수행 방법을 분석하고 고찰함으로써 한국어 교재 및 한국어교육에서의 말하기 과제 개선 방향을 논의하고 그 방향에 맞는 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는 말하기 과제의 연구 영역을 좀 더 넓히고 다양한 관점에서 말하기 과제 유형과 과제 수행에 관한 연구들이 지속되어야 한다는 근거를 마련해주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improvement of speaking task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language use ability which is emphasized in recent language training courses. Specifically, it focused on the type of tasks and the way of carrying out the tasks that enable students to participate positively in class and actively carry out tasks and to promote the use of fluent language in the classroom and in everyday life outside the classroom. Tasks are a means of communicating with the assumption of specific contexts and situations likely to be encountered in everyday lif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types of speaking tasks and how to perform tasks in Korean intermediate textbooks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in college, and discusses ways to improve speaking tasks in Korean textbook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above-mentioned researches also broaden the research area of the speaking task and provide a basis for the study on the speaking task type and how to perform tasks from various perspectives.
목차
1. 서론
2. 말하기 과제의 이해 및 검토 방향
3. 말하기 과제 분석 및 개선 방향성 제안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선 추적 결과물을 활용한 시각 자료 해석 교육
- 이동규의 ‘호동설화’ 모티프 역사극 <樂浪公主> 연구
- 문장 유형 교육 내 감탄문 설정 문제 검토
- 신토피컬 독서 후 토론 입론문에 나타난 초등학생의 담화 종합 양상 연구
-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어학습 동기와 학업성취에 관한 질적 연구
-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을 기초로 한 한국어교육학의 연구 영역
- 한국어교육에서의 말하기 과제에 관한 연구
- 속담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학교 안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한국어 교육과정>의 위상
-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전략 사용 양상 연구
- 초등 사회과 교과서의 학습읽기 전략 실태
- 한국드라마를 활용한 한국 속담 교육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