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을 기초로 한 한국어교육학의 연구 영역
이용수 58
- 영문명
- Korean Academic Research Domains Identified by Analyzing Prior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강승혜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10호, 121~14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발표된 한국어교육 연구물 분석을 통해 한국어교육 연구 영역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어교육 연구는 한국어교육 현장의 역사와 함께 발전하고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지금까지 수행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어교육학의 연구 영역들에 대한 논의가 가능할 것이다. 한국어교육 연구 분야의 연구 영역을 규명하기 위하여 한국어교육 연구가 활발히 수행된 2000년 이후 발표된 석·박사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 7,681편을 연구 유형별(학위논문, 학술지) 동향, 연도별 연구 동향, 주제별 연구 동향 등을 살펴보았다. 연구 동향 분석 결과 크게 ‘한국어교육 일반’, ‘한국어교육 내용’, ‘교수학습’ 등 세 가지 주제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한국어교육 일반’은 여섯 가지 하위 주제로 ‘한국어교육 내용’은 아홉 가지 하위 주제로 ‘교수학습’은 열 가지 하위 주제로 나눌 수 있었다. 2000년 이후 새로이 등장한 하위 주제 등 한국어교육 연구 영역이 다양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영문 초록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closely tied to the actual practice of teaching Korean as a language. Through examining the previous research carried thus far, academic domains of Korean Education research could be discus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xisting research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the year 2000 to present and to parse their findings into discrete academic domains categorically. These academic domains were identified through a study of 7,681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categorizing each text according to research type, research subject, and yearly trends. The following four domain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General Korean Education Issues, Korean Education Content,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General Korean Education Issues is comprised of 6 sub-research topics, whereas Korean Education Content is comprised of 9 sub-research topics and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is comprised of 10 sub-research topics. Overall, it is evident that a variety of research domains have emerged regar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since 2000.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연구 방법 및 절차
3.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2000년 이후 연구를 대상으로
4. 학문적 정체성 논의와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한 한국어교육의 연구 영역
5.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선 추적 결과물을 활용한 시각 자료 해석 교육
- 이동규의 ‘호동설화’ 모티프 역사극 <樂浪公主> 연구
- 문장 유형 교육 내 감탄문 설정 문제 검토
- 신토피컬 독서 후 토론 입론문에 나타난 초등학생의 담화 종합 양상 연구
-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어학습 동기와 학업성취에 관한 질적 연구
-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을 기초로 한 한국어교육학의 연구 영역
- 한국어교육에서의 말하기 과제에 관한 연구
- 속담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학교 안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한국어 교육과정>의 위상
-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전략 사용 양상 연구
- 초등 사회과 교과서의 학습읽기 전략 실태
- 한국드라마를 활용한 한국 속담 교육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