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드라마를 활용한 한국 속담 교육 연구
이용수 61
- 영문명
- A Study on Korean Proverb Education Using Korean Drama: Focusing on Comparing Korean Dialogues with English Subtitles of Drama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윤은미 우인혜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10호, 213~24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세계 여러 나라에 이미 잘 알려진 한국 드라마 중 <꽃보다 남자>에 나타난 한국어 관용표현 중 속담의 영어 번역 자막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수 방안을 제안해보려고 한다. 이 드라마는 부잣집 소년과 가난한 소년과 가난한 소녀의 사랑을 다룬 일본 만화 ‘꽃보다 남자(花より男子)’가 원작으로서, 아시아 4개국 즉, 한국과 중국, 일본, 대만에서 TV 드라마로 제작되었고, 서계 183개국에서 69개 언어로 번역되어 획기적인 자막 방속 기록을 달성하였기에 분석 자료고 선정하였다. 이 드라마 총 25회에 나타난 속담 대사와 그에 대응하는 영어 자막을 비교 대조하면서 한국어와 영어에서의 속담 사용에 있어서 담화 맥락상의 의미를 이해시키는 교수 방안을 모색해본 것이다. 이 연구는 한국 드라마나 영화의 수출이 급속하게 확산되는 시점에서 한국 속담의 정확한 의미를 담아낼 수 있는 영화 자막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등장인물들이 발화하는 고유한 언어문화인 속담에 응축된 한국인의 정서를 한국드라마와 더불어 전 세계 시청자들에게 이해시킴으로써 한류 문화에 대한 공감대 형성에 일조할 수 있음에 의미를 두었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propose Korean culture Education Program using Korean dramas, this study is focusing on English subtitles translated the proverbs in many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that appear in ‘Boys Over Flowers’, which is one of the world famous Korean dramas. By comparing the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with English subtitles shown in ‘Boys Over Flowers’(a total of 25 times drama), present study is attempting to explore teaching methods to make it be understood the meaning on ‘the context of discourses’ of Korean and English idiomatic expressions.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ovie subtitles that can accurately convey the meaning of Korean proverbs at the time when the export of Korean dramas and movies is rapidly spreading.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at it is important for the Korean dramas to transmit the emotions of Koreans condensed in the proverbs of the characters’dialogues to the fans of the Korean drama around the world to form a consensus on Korean culture.
목차
1. 서론
2. 한국어 속담의 필요성
3. 한국어와 영어 속담의 비교 분석
4. 드라마 <꽃보다 남자> 속담 대사 이해 분석
5. 한국드라마 속담 대사와 영어자막을 이용한 실제 교수 방안
6.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선 추적 결과물을 활용한 시각 자료 해석 교육
- 이동규의 ‘호동설화’ 모티프 역사극 <樂浪公主> 연구
- 문장 유형 교육 내 감탄문 설정 문제 검토
- 신토피컬 독서 후 토론 입론문에 나타난 초등학생의 담화 종합 양상 연구
-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어학습 동기와 학업성취에 관한 질적 연구
-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을 기초로 한 한국어교육학의 연구 영역
- 한국어교육에서의 말하기 과제에 관한 연구
- 속담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학교 안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한국어 교육과정>의 위상
-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전략 사용 양상 연구
- 초등 사회과 교과서의 학습읽기 전략 실태
- 한국드라마를 활용한 한국 속담 교육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