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학교육에서 질문의 재개념화와 질문 교육의 체계화

이용수 44

영문명
Reconceptualization of Questions and Systematization of Question Educ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황예인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130호, 229~25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문학교육에서 질문의 의미와 발생 기제 및 유형을 이론적으로 탐구한다. 방법: 바흐친의 대화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문학교육에서의 질문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또한 문학 작품과 학습자가 외재성과 타자성의 성질을 지니는 것에 주목하여, 문학교육에서의 질문의 기제와 유형을 탐색하였다. 결과: 문학교육에서의 질문을 학습자와 문학 텍스트가 상호 작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 사태를 언어로 표현하는 것으로 규정하였다. 또한 문학 텍스트를 감상하는 과정에서 질문이 추동되는 원리를 외재성과 타자성으로 밝혀, 질문의 유형을 ‘외재성에 의한 텍스트 지향 질문’과 ‘타자성에 의한 자기 지향 질문’으로 제시하였다. 질문 중심의 문학 수업을 기획하고 설계할 때는 ‘문학 텍스트의 재현’ 과정이 수반되어야 하며, 대화 주체인 ‘학습자 자신에 대한 인식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또래 학습자와 대화의 결과를 공유함으로써 자신의 사고를 수정하고 문학 텍스트의 의미를 확장시킬 수 있다. 결론: 학습자는 문학 텍스트와 상호 작용하면서 질문을 던짐으로써 텍스트 세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능동적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theoretically explores the meaning, mechanism, and type of questions in literary education. Result: The question in literature education was defined as the expression of a problem in language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er and the literary text. In addition, the principle that questions are driven in the process of appreciating literary texts is identified as externality and otherness, and the types of questions are divided into ‘text-oriented questions by externality’ and ‘self- oriented questions by otherness’. When planning and designing a question- centered literature class, the process of ‘reproduction of literary texts’ in which learners grasp the situation covered in the literary texts before generating questions should be accompanied, and the awareness of the learners themselves, the subjects of dialogue, should be activated. should be able to do it In addition, the learner can revise their thinking and expand the meaning of the literary text through the step of sharing the literary text and the results of question and answer conversations with peers. Conclusion: The learner can actively participate in the text world and promote active understanding by asking questions while interacting with the literary text.

목차

1. 들어가며
2. 질문의 문학교육적 재개념화
3. 문학교육에서 질문 발생의 기제 및 유형
4. 의미 구성을 위한 질문 중심의 문학 수업
5.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예인. (2022).문학교육에서 질문의 재개념화와 질문 교육의 체계화. 새국어교육, (), 229-258

MLA

황예인. "문학교육에서 질문의 재개념화와 질문 교육의 체계화." 새국어교육, (2022): 229-2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