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사서에 담긴 발해 지리 인식의 추이 검토

이용수 86

영문명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Balhae Geography in Joseon Dynasty Historical Materials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김진광(Kim jinkwang)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24號, 257~28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유득공의 『발해고』 서문에도 잘 드러나 있지만 발해 계승 인식이 조선 시대 역사서에 어떻게반영되어 있는가를 살피는 문제는 중요하다. 발해 역사 지리 인식의 변화는 조선 중후기 역사지리학의 발전과 맞물려 발전하였다. 이것은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 외적과 항쟁하는 과정에서 부국강병론이 확산되면서 고구려와 발해 등 북방지역을 장악하였던 국가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에 따라 盛京지역을 조선의 옛 땅으로 비정한 『요사』의 내용이나 요동 일대를 고구려의 옛 강역으로 비정한 『대명일통지』, 『성경지』, 『만주원류고』 등에 근거하여 그 범위를 만주 일대까지 확장시키려는 경향도 확산되었다. 발해사 관련 기록을 전하는 국내 기록은 12세기를 시작으로 19세기 중반에 걸쳐 편찬된 것으로모두 42종이다. 하지만, 지리 고증을 다룬 『東國通鑑』, 『東史』, 『東國通鑑提綱』, 『星湖僿說』, 『東史綱目』, 『增補文獻備考』, 『紀年兒覽』, 『⾭莊館全書』, 『修山集』, 『燃藜室記述』, 『我邦疆域考』, 『海東繹史續』, 『大東地志』, 『渤海考』 등 사서는 『新唐書』 발해전의 지리 관련 기사를 전재하거나발췌한 정도이고, 본격적인 고증을 시도한 사서는 『동사강목』, 『아방강역고』, 『해동역사속』, 『대동지지』, 『발해고』 5종뿐이다. 발해의 5경 15부 62주에 대해 가장 먼저 검토한 것은 『동사강목』으로, 여기에서는 발해가 멸망하고 함경도와 평안도가 다 발해에 귀속되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정작 본문의 지리 고증에서는이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발해 역사 지리 고증도 요동 지역으로 치우쳐 비정한 결과를초래하였다. 이러한 기조는 『발해고』나 『대동지지』로 이어졌다. 이는 『요사』 지리지를 직접 인용하지는 않았으나 이를 계승한 『일통지』 『성경통지』 계열의 사료를 비판없이 수용한 결과이기도하다. 발해 지리 고증에서 인식의 전환은 『아방강역고』와 『해동역사속』에서 이루어졌다. 이 두 사서는 『신당서』 발해전 기록에 근거하여 『요사』 지리지 및 이를 계승한 『일통지』, 『성경통지』 류의사료를 비교 검토하고, 지리 비정을 요동 지역으로 이해한 『동사강목』, 『발해고』, 『대동지지』의오류를 비판한 뒤 새롭게 그 위치를 비정하였다. 이 견해는 현재의 학설과 구체적인 지점에서 차이가 있지만, 대체적인 맥락은 거의 일치한다. 이것은 단순히 문헌 사료에 대한 검토만이 아니라지리 고증학적인 방법론이 유기적인 결합의 결과로서 역사 지리 인식의 측면에서 『동사강목』, 『대동지지』와 『발해고』의 수준보다 더 높은 단계로 올라섰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영문 초록

Although it is well revealed in Yu Deuk-gong(柳得恭)'s preface to Balhae-go(渤海考), it is important to examine how the perception of Balhae succession is reflected in the history books of the Joseon Dynasty.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historical geography in Balhae developed in conjunction with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geography in the middle and late Joseon Dynasty. This expanded interest in the historical space of the past as the theory of wealth and strength spread in the process of protesting with external enemies such as the Imjin War(壬⾠倭亂) and the Manchu Invasion(丙⼦胡亂) of Korea. The study of the territory aroused interest in countries that dominated the northern areas such as Goguryeo and Balhae after Dangun Joseon(檀君朝鮮) in time, and further expanded their understanding of historical and geographical data received from China. Accordingly, the tendency to expand the scope of the river area to Manchuria spread away from the limitations of domestic data that focused on the Korean Peninsula. There are a total of 42 historical materials that convey records related to Balhae history. The compilation period ranges from the 12th century to the mid-19th century. However, there are 14 types of historical materials dealing with the territorial geography of Balhae, and most of them are reproduced or extracted from the geography-related articles of Xintangshu(新唐書), and only five types of history books have attempted to prove geography in earnest. The first review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Balhae was Dongsa-gangmok(東史綱目), where Balhae was destroyed and Hamgyeong-do(咸境道) and Pyeongan-do(平安道) belonged to Balhae. However, in fact, this was not reviewed in the geographical history of the text, and the historical geography of Balhae was also biased toward the Liaodong area(遼東). This stance led to Balhae-go(渤 海考) and Daedongjiji(大東地志), which harshly criticized Goryeo for not compiling Balhae history. Of course, it was not directly cited as Liaoshi(遼史) Geography, but it is also the result of accepting historical materials of the Yitongzhi(一統志), Shengjingtongzhi(盛京通志) series that succeeded it without criticism. In the historical evidence of Balhae geography, the transformation of perception was made in AbangGangyeok-go(我邦疆域考) and Haedong-yeoksasok(海東繹史續). These two historical sources were compiled around the same time and have similar forms. Unlike the location of major administrative districts in Balhae in Dongsa-gangmok(東史綱目), these two librarians compared and reviewed each feed to criticize the error of defining the location as the Liaodong area(遼東), and presented a new perception. This view is not different from the current theory in terms of specific points, but it is almost identical in the general context. And in a large framework, it is not very different from the development of archaeology or the result of the deepening of research. This means that the perception of historical geography has risen one notch from the level of Dongsa-gangmok (東史綱目) as a result of organically combining the historical historical methodology as well as a review of historical data.

목차

Ⅰ. 머리말
Ⅱ. 5경ㆍ5부의 지리 고증 검토
Ⅲ. 10부 및 독주주의 지리 비정 검토
Ⅳ. 발해 지리 인식의 추이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광(Kim jinkwang). (2022).조선시대 사서에 담긴 발해 지리 인식의 추이 검토. 백산학보, (), 257-285

MLA

김진광(Kim jinkwang). "조선시대 사서에 담긴 발해 지리 인식의 추이 검토." 백산학보, (2022): 257-2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