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구려 안시성 지리적 위치에 대한 새로운 고찰
이용수 94
- 영문명
- A New Study on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Goguryeo Anshi City
- 발행기관
- 백산학회
- 저자명
- 왕텐쯔(Tianzi WANG)(王天姿)
- 간행물 정보
- 『백산학보』第124號, 117~13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요동반도 지역에 수많은 고구려 성이 남아 있는데 안시성이 그중의 하나이다. 고구려 안시성은고구려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데 유명한 安市戰이 바로 안시성에서 일어난 것이다.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안시성의 구체적인 위치에 대해 부동한 의견을 내놓았다. 본고는 종래여러 학자들의 관점을 짚어보고 문헌기록과 현지조사에 기초하여 안시성의 위치를 추정하고 연구하여 사학계의 가르침을 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In the region of Liaodong peninsula, there are many historic sites of Goguryeo city, and Anshi city is one of them. Anshi city has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Goguryeo, in where the famous Battle of Anseong took place. Over the years there have been many opinions about the specific positioning of Anshi city. On the basis of synthesizing the views of previous scholars, collating literature and field investigation, this paper intends to make a further examination of the geographic position of Anshi city.
목차
Ⅰ. 고구려 안시성에 관한 문헌기록 및 안시성 전투의 경위
Ⅱ. 고구려 안시성 지리적 위치에 대한 여러 견해와 그에 대한 논평
Ⅲ. 개주 청석령진 고려성산성의 고구려 안시성 비정
Ⅳ. 結語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선 매둔동굴 출토 청동기시대 사람뼈 연구
- 동해안 일대 고구려 산성의 조사와 성과 (상)
- 고구려 안시성 지리적 위치에 대한 새로운 고찰
- 창녕 교동 63호분 매장프로세스 연구
- 新羅下代 禪宗寺院의 華嚴法身佛像 조성 배경 연구
- 이형 석도 4종의 사용흔 분석
- 양주 회암사지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방향성 연구
- 集安 출토 고구려 銘文塼 고찰
- 조선 후기 여협도(女俠圖) 연구
- 신라 武官의 官服 구성 품목과 위신재
- 고구려 상장의례 시론
- 임진왜란기 조선의 對일 공수(攻守) 방안
- 白山學報 第124號 목차
- 조선시대 사서에 담긴 발해 지리 인식의 추이 검토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