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구려 상장의례 시론
이용수 231
- 영문명
- A Study on the Funeral Rites of Goguryeo
- 발행기관
- 백산학회
- 저자명
- 강진원(Kang Jinwon)
- 간행물 정보
- 『백산학보』第124號, 61~8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고구려에서는 애초 100일상을 지냈다. 하지만 3세기 전반 이후 장기간의 빈을 수반한 3년상이퍼지기 시작하였다. 빈이 길어진 이유는 왕실에서 고분을 축조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렸을 뿐아니라, 새로운 왕이 자신의 권력을 공고히 하려 했기 때문이다. 왕실의 빈소는 왕궁과 떨어진곳에서 소재하였을 가능성이 큰데, 빈이 끝난 뒤 시신을 실은 관이 무덤까지 이동하였다.
한편 고구려에서는 본디 후장이 이루어졌으며, 3세기 전반 이후 무덤 주변에 식수 행위도 나타났다. 그러나 4세기 후반~5세기에 걸쳐 박장 풍조가 강해진 결과, 매장 시 죽은 이의 물품을 타인에게 분배하는 습속이 대두하였다. 다만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장례 시 흥겨운 분위기 속에서망자를 보내던 전통은 유지되었다.
영문 초록
During the early years of Goguryeo, people mourned for the deceased for 100 days. Yet the culture of three-year mourning spread out after the early 3rd century. In case of the three-year mourning, ‘bin’ (殯, preserving the body temporarily in a morgue) lasted for a long time. It was partially because it took a long time to build a royal tomb, but the more important reason was because the new king needed time to cement his power. Most likely, it is assumed that the royal temporary morgues (殯所) were located outside the royal palace. It is also assumed that the coffin with the body in it was moved to the tomb after the ‘bin’ period.
Originally, in Goguryeo, grand funeral was enacted. Then, trees were planted around tombs after the early 3rd century. However, because the trend of simple funeral became prevalent from the late 4th century to the 5th century, the deceased’s goods came to be distributed to others. Despite these changes, the tradition that escorting a funeral in a cheerful atmosphere was maintained.
목차
Ⅰ. 머리말
Ⅱ. 상장의례 추이
Ⅲ. 상장의례 공간과 운영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선 매둔동굴 출토 청동기시대 사람뼈 연구
- 동해안 일대 고구려 산성의 조사와 성과 (상)
- 고구려 안시성 지리적 위치에 대한 새로운 고찰
- 창녕 교동 63호분 매장프로세스 연구
- 新羅下代 禪宗寺院의 華嚴法身佛像 조성 배경 연구
- 이형 석도 4종의 사용흔 분석
- 양주 회암사지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방향성 연구
- 集安 출토 고구려 銘文塼 고찰
- 조선 후기 여협도(女俠圖) 연구
- 신라 武官의 官服 구성 품목과 위신재
- 고구려 상장의례 시론
- 임진왜란기 조선의 對일 공수(攻守) 방안
- 白山學報 第124號 목차
- 조선시대 사서에 담긴 발해 지리 인식의 추이 검토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