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集安 출토 고구려 銘文塼 고찰

이용수 65

영문명
A study of bricks engraved with Koguryo characters excavated from the Jian area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고광의(Ko Kwangeui)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24號, 87~11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고구려 시기 왕릉급 묘장인 천추총과 태왕릉에서 출토된 명문전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2003년 발굴조사 때 출토된 명문전을 중심으로 기존에 알려진 것들과 비교 검토하였다. 『集安⾼句麗王陵-1990~2003年集安⾼句麗王陵調査報告』에는 천추총에서 출토된 ‘千秋萬 歲永固’명과 ‘保固乾坤相畢’명을 각각 A형과 B형으로 분류하고 다시 자형과 서체 특징에 따라모두 10종으로 구별하여 소개하였다. 분류상에 나타난 약간의 문제를 보완하고 이들 명문전에나타난 서사 풍격의 상이점을 추가하여 유형별 특징을 살펴보았다. 천추총 명문전은 적어도 네 부류의 서사자 또는 집단이 제작에 관여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유형별로 묶어 보면 첫 번째가 Aa형, Ab형, Ad형, 두 번째가 Ac형, Ae형, Af형, 세 번째는 Ag형, 네번째가 Ba형과 Bb형이다. 이들 서사자 혹은 집단은 서로 유사한 풍격을 공유하는 한편 저마다의개성적인 필치를 구사하여 천추총이 축조되던 시기 고구려 문자문화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 태왕릉 명문전은 Aa형과 Ab형의 두 종류로 나눌 수 있지만 실상 서체 풍격이 비슷하여 서사자가 동일인일 가능성이 있다. 자형을 과감하게 변형시키는 등 의도성이 강하여 서사자가 한자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충분히 갖추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명문의 전체적인 서체 풍격이천추총 명문전과도 유사한 면이 있는데 서사자가 직접 연관되거나 상호 영향 관계에 있을 가능성이 있다. 천추총과 태왕릉 명문전의 서체 풍격은 문자디자인적 요소가 돋보인다. 이는 당시 문자문화가단순히 서사라는 실용적 측면에 머무르지 않고 미적 감각을 살린 서예술로 인식되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영문 초록

We looked into bricks engraved with letters that were excavated from Cheonchuchong(千秋塚) and Taewangleung(太王陵) during the Koguryo period. It is thought that four scribes were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the bricks engraved with letters excavated from Cheonchuchong. The first type is Aa type, Ab type, Ad type, the second type is Ac type, Ae type, Af type, the third type is Ag type, and the fourth type is Ba type and Bb type. These scribes share similar typefaces with each other and use their unique brushstrokes to show Koguryo's calligraphy character culture. The bricks engraved with letters excavated from Taewangleung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but they are likely to be the same person because of the similar font. In ad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writing style was related or influenced because the typeface was similar to the inscribed bricks excavated from Cheonchuchong. The brick letters excavated from Cheonchuchong and Taewangleung stand out for their character design sense. This shows that the writing culture of Koguryo was recognized as writing art that utilized aesthetic sense rather than simply writing.

목차

Ⅰ. 머리말
Ⅱ. 千秋塚 銘文塼의 유형과 특징
Ⅲ. 太王陵 銘文塼의 유형과 특징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광의(Ko Kwangeui). (2022).集安 출토 고구려 銘文塼 고찰. 백산학보, (), 87-116

MLA

고광의(Ko Kwangeui). "集安 출토 고구려 銘文塼 고찰." 백산학보, (2022): 87-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