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현상 탐구에 있어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에 기반한 질적연구방법론의 의미와 쟁점 탐색
이용수 868
- 영문명
- Actor-Network Theory-ba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for Exploring Educational Phenomena: Meanings and Issues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이수한(Soohan Lee) 소경희(Kyunghee So)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8권 제4호, 39~6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포스트휴먼 시대로의 이행은 교육현상 탐구에 있어서 활용되어 온 인본주의적·재현주의적 연구방법론의 변화를 요청하고 있다.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은 인간과 비인간 존재들의 ‘관계적 얽힘’의 효과로서 발현되는 다양한 사회물질적 현상에 초점을 두는 대안적인 존재인식론이자 교육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새로운 질적연구방법론의 가능성을 제공하는 원천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는 포스트휴먼 질적연구방법론의 한 갈래라고 할 수 있는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통해 교육현상을 분석한다는 것의 이론적·실제적 의미가 무엇인지를 해명하고, 그와 같은 방법론적 원리를 활용하는 일과 관련된 핵심 쟁점들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먼저 ANT의 관점에 터해 연구대상으로서의 (교육)현상을 재정의한다. 또한, 본 연구는 ANT가 질적인 (교육)현상 분석을 위해 취하는 접근을 ‘회집하기’라 명명하며, 그러한 접근 방식이 갖는 ‘포스트-비판적’ 측면 및 방법론적 특징들을 심층적으로 논의한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질적연구방법론의 새로운 접근으로서 ANT를 활용하는 ‘(교육)연구자-되기’의 과정과 관련한 세 가지의 쟁점들, 즉 연구자의 위치성, 자료분석 및 글쓰기 방식, 연구결과의 타당성 확보와 관련된 문제들을 검토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교육현상의 복잡성, 역동성, 모호성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ANT 기반 질적연구방법론을 연구자들이 개발·구현할 수 있는 방향이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e transition into posthuman era has called for the departure from humanist and representationalist approaches to qualitative research that provide specific tools to explore educational phenomena. Actor-Network Theory (ANT) has recently been gain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qualitative research that focuses on various socio-material phenomena emerging as effects of more-than-human entanglements.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meanings of analyzing educational phenomena through ANT as one of posthumanist approaches to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to examine the key issues of utilizing it. This article names ANT-ish approaches to analyzing (educational) heterogeneous phenomena as ‘assembling’ and discusses the ‘post-critical’ aspects and the major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ch approaches. Next, it examines the following issues involved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educational) qualitative researcher’ utilizing ANT; researchers’ positionality, ways of data analysis and writing, and validity of ANT-based qualitative research. Finally, the directions are suggested for developing ANT-ba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working in practice) to delve into the complexities, dynamics, and ambivalences of certain educational phenomena.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적탐구 제8권 제4호 목차
- [삭제] 질적탐구 제8권 제4호 목차
- [삭제] 한 성인학습자의 유튜브 기반 학습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삭제] 비자살적 자해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삭제]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보드게임 활용 상담자의 경험 탐구
- [삭제] 홈스쿨링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형성과정에 대한 생애사 연구
- 비자살적 자해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삭제] 자녀가 있는 중년남성의 이혼 관념 재구성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홈스쿨링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형성과정에 대한 생애사 연구
- [삭제] 비 자살적 자해 대학생의 자해 중단 경험
- [삭제] 여성 알코올 중독자의 치료공동체를 통한 회복과 성장에 관한 생애사 연구
- 교육현상 탐구에 있어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에 기반한 질적연구방법론의 의미와 쟁점 탐색
- 자녀가 있는 중년남성의 이혼 관념 재구성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보드게임 활용 상담자의 경험 탐구
- 사회과학 연구방법론으로서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개념 탐색
- [삭제] 사회과학 연구방법론으로서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개념 탐색
- 한 성인학습자의 유튜브 기반 학습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삭제] 성인 발달장애인의 직업생활 경험 탐구
- COVID-19 상황을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만다라를 통한 자기 돌봄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삭제] 교육현상 탐구에 있어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에 기반한 질적연구방법론의 의미와 쟁점 탐색
- 성인 발달장애인의 직업생활 경험 탐구 -지적장애인을 중심으로-
- [삭제] COVID-19 상황을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만다라를 통한 자기 돌봄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비 자살적 자해 대학생의 자해 중단 경험: 해석현상학적 분석
- 여성 알코올 중독자의 치료공동체를 통한 회복과 성장에 관한 생애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육과정부 부장교사의 임파워먼트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기도 A시 교육지원청 관내 12개교를 대상으로
- 교육발전특구 추진과정에 나타난 일반행정과 교육행정 간 의사결정과정 분석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