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OVID-19 상황을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만다라를 통한 자기 돌봄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166
- 영문명
- Exploring the Autobiographical Narrative of Self-Caring through Mandara for an Art Therapist who Experienced the COVID-19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이송희(Songhee Lee) 전순영(Soonyoung Chun)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8권 제4호, 231~25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가 코로나 19 바이러스(COVID-19)로 인해 겪게 된 사회적, 심리적 변화에 대한 경험과 의미를 예술적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통해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기간은 2020년 1월에서 2021년 4월까지의 총 16개월 중에 미술치료사의 만다라 그림 작업으로 이루어졌으며, 코로나 19 상황과 연관되거나 그로 인한 심리적 혼란 요소들이 포함된 12가지 그림의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일과 개인적인 삶의 정서적 회복 및 균형성을 위한 자기 돌봄의 일환으로 시작된 만다라 작업은 심리적 흐름에 따라 전개되며 Connelly와 Clandinin가 제안한 내러티브의 5단계 형식에 근거한 시간, 장소, 공간적 의미에 따라 수집된 자료들로 이야기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첫째, 코로나 19 상황 중 미술치료사의 만다라 작업은 개인 공간에서의 예술적 활동으로 외부적 위험의 노출에 대한 부정적 요소를 최소화하면서 내부적인 자유로운 세계를 표현함으로 정서적 순환의 경험으로 이끌어주었다. 두 번째, 코로나 19 상황 중 미술치료사의 자기 돌봄 작업은 나의 그림과 이야기를 통해 만나는 감정에 직면함으로써 자기 자각과 성찰의 기회가 주어짐에 따라 심리적 균형감의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러므로 사회적 재난 상황에서의 심적 갈등의 혼란을 조절하고 나아가 미술치료사로의 삶을 유지하고 위기에 대처하며 회복하는 데 있어서 만다라 미술치료 작업은 자기 돌봄의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social and psychological changes experienced by art therapists infected with the COVID-19 virus through artistic narrative inquiry methods. The study period was total 16 months from January 2020 to April 2021, and the art therapist worked on mandara painting during the period focusing on the contents of 12 paintings related to the COVID-19 virus or including psychological confusion factors. The Mandara work, which began as part of self-care for emotional recovery and balance of work and personal life, unfolds with psychological flow and displays data collected by the time, place, and spatial meaning based on the five-step format of the narrative proposed by Connolly and Cland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during the COVID-19 situation, the art therapist’s mandara work led to an experience of emotional circulation by expressing an internal world of freedom while minimizing negative factors of exposure to external risks through artistic activities in personal space. Second, during the COVID-19 situation, the art therapist’s self-care work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ntrol of psychological balance as he was given the opportunity to recognize and reflect on his feelings of meeting through his paintings and storie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mandara art therapy work can be a method of self-care in relieving the confusion from mental conflicts in social disaster situations, further maintaining life as an art therapist, coping with crises, and recovering.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적탐구 제8권 제4호 목차
- [삭제] 질적탐구 제8권 제4호 목차
- [삭제] 한 성인학습자의 유튜브 기반 학습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삭제] 비자살적 자해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삭제]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보드게임 활용 상담자의 경험 탐구
- [삭제] 홈스쿨링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형성과정에 대한 생애사 연구
- 비자살적 자해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삭제] 자녀가 있는 중년남성의 이혼 관념 재구성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홈스쿨링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형성과정에 대한 생애사 연구
- [삭제] 비 자살적 자해 대학생의 자해 중단 경험
- [삭제] 여성 알코올 중독자의 치료공동체를 통한 회복과 성장에 관한 생애사 연구
- 교육현상 탐구에 있어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에 기반한 질적연구방법론의 의미와 쟁점 탐색
- 자녀가 있는 중년남성의 이혼 관념 재구성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보드게임 활용 상담자의 경험 탐구
- 사회과학 연구방법론으로서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개념 탐색
- [삭제] 사회과학 연구방법론으로서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개념 탐색
- 한 성인학습자의 유튜브 기반 학습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삭제] 성인 발달장애인의 직업생활 경험 탐구
- COVID-19 상황을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만다라를 통한 자기 돌봄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삭제] 교육현상 탐구에 있어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에 기반한 질적연구방법론의 의미와 쟁점 탐색
- 성인 발달장애인의 직업생활 경험 탐구 -지적장애인을 중심으로-
- [삭제] COVID-19 상황을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만다라를 통한 자기 돌봄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비 자살적 자해 대학생의 자해 중단 경험: 해석현상학적 분석
- 여성 알코올 중독자의 치료공동체를 통한 회복과 성장에 관한 생애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육과정부 부장교사의 임파워먼트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기도 A시 교육지원청 관내 12개교를 대상으로
- 교육발전특구 추진과정에 나타난 일반행정과 교육행정 간 의사결정과정 분석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