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보드게임 활용 상담자의 경험 탐구
이용수 262
- 영문명
- An Inquiry of the Experience of Counselors who Conducted Counseling Using Board Gam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김희정(Kim, Hee Jung) 양지웅(Yang, Ji Woong)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8권 제4호, 205~22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및 청소년 내담자를 대상으로 보드게임을 활용한 상담을 수행한 상담자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보드게임 활용 상담경력이 1년 이상인 석사이상의 상담자 9명이 연구 참여자로 선정되었다. 보드게임 활용 상담자의 상담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을 사용하였으며, 평균적으로 80분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상담초기 작업의 도구로써 보드게임의 유용성을 경험함’, ‘보드게임을 통해 내담자의 변화를 생생하게 경험함’, ‘상담에서 보드게임 활용의 한계를 경험함’, ‘보드게임 상담자로서 성장을 경험함’의 4개의 영역과 1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상담에서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자신만의 보드게임 선택과 활용이 중요하고, 보드게임 상담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해 자신만의 상담기술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드게임 상담에서 상담자의 경험에 대해 논의하였고,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in-depth exploration of the counselor’s experience in counseling using board games. To this end, nine counselors with more than one year of experience in counseling using board games were recruited as study participants. The interviews lasted an average of 80 minutes. In order to analyze their experience of using board game in counsel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was applied. As a result of the study, four domains and 16 categories were derived, and the four domains included ‘Experiencing the usefulness of board games as a tool in early counseling work’, ‘Vividly experiencing the client’s transformation through board games’, ‘Experiencing the limitations of using board games in counseling’, ‘Experiencing growth as board game counselors’. The participants thought it is important to choose and use proper board games to apply in their counseling. To be equipped with their competence as a counselor, it is also important to develop their own counseling strateg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counseling using board games and the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적탐구 제8권 제4호 목차
- [삭제] 질적탐구 제8권 제4호 목차
- [삭제] 한 성인학습자의 유튜브 기반 학습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삭제] 비자살적 자해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삭제]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보드게임 활용 상담자의 경험 탐구
- [삭제] 홈스쿨링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형성과정에 대한 생애사 연구
- 비자살적 자해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삭제] 자녀가 있는 중년남성의 이혼 관념 재구성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홈스쿨링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형성과정에 대한 생애사 연구
- [삭제] 비 자살적 자해 대학생의 자해 중단 경험
- [삭제] 여성 알코올 중독자의 치료공동체를 통한 회복과 성장에 관한 생애사 연구
- 교육현상 탐구에 있어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에 기반한 질적연구방법론의 의미와 쟁점 탐색
- 자녀가 있는 중년남성의 이혼 관념 재구성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보드게임 활용 상담자의 경험 탐구
- 사회과학 연구방법론으로서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개념 탐색
- [삭제] 사회과학 연구방법론으로서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개념 탐색
- 한 성인학습자의 유튜브 기반 학습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삭제] 성인 발달장애인의 직업생활 경험 탐구
- COVID-19 상황을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만다라를 통한 자기 돌봄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삭제] 교육현상 탐구에 있어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에 기반한 질적연구방법론의 의미와 쟁점 탐색
- 성인 발달장애인의 직업생활 경험 탐구 -지적장애인을 중심으로-
- [삭제] COVID-19 상황을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만다라를 통한 자기 돌봄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비 자살적 자해 대학생의 자해 중단 경험: 해석현상학적 분석
- 여성 알코올 중독자의 치료공동체를 통한 회복과 성장에 관한 생애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육과정부 부장교사의 임파워먼트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기도 A시 교육지원청 관내 12개교를 대상으로
- 교육발전특구 추진과정에 나타난 일반행정과 교육행정 간 의사결정과정 분석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