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 알코올 중독자의 치료공동체를 통한 회복과 성장에 관한 생애사 연구
이용수 170
- 영문명
- Life History Study On the Recovery and Growth of a Female Alcohol Dependent through Therapeutic Community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최미경(Mikyung Choi)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8권 제4호, 151~17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치료공동체를 통해 회복과 성장을 경험한 한 여성 알코올 중독자의 생애사를 분석하여 회복중에 있는 여성이 어떻게 적응하는지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60대 여성 알코올 중독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Mandelbaum(1973)이 제시한 삶의 영역, 전환점, 적응이라는 세 가지 개념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삶의 영역에서는 ‘인정받고 싶었던 성장 과정’, ‘아버지 부재로 공부해야 할 이유를 상실’, ‘엄마를 그대로 닮은 엄마’, ‘남편의 외도 후 술에 의존’, ‘풍지박살난 내 인생’, ‘치료공동체 생활’로 도출되었고, 전환점에서는 ‘미역국 한 그릇에 마음이 녹음’, ‘선한 사마리아인과의 조우’, 적응에서는 ‘자기 문제를 깨달아 감’, ‘재활을 통한 자기 긍정’, ‘자기중심에서 더불어 연대로’가 주요 주제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여성 알코올 중독자의 치료와 회복에 필요한 개입 방향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여성 알코올 중독자의 치료공동체 생활을 통한 회복과 성장 경험에 주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fe history of a female alcoholic who experienced recovery and growth and to comprehend her adaption process. For this purpose, the raw data were collected from a participant who sustained abstinence through an in-depth interviews and they were analyzed following Mandelbaum’s conceptual frame; dimension, turning point, and adaptation. The analysis of the data showed that in ‘life domain’ the following dimensions were drawn: The process of growing up with desire to be recognized’, ‘The loss of the reason to study due to my father’s absence’, ‘My mother who resembles her mother’, ‘Dependent on alcohol after my husband’s affair’, ‘My life was ruined’, ’Therapeutic Community life’. In Turning Point: ‘My heart melts just with a bowl of seaweed soup’, ‘Encounter with a good Samaritan’ and in Adaption: ‘Awareness of my problems’, ‘Self-affirmation through rehabilitation’, ‘From self-centeredness to solidarity’ were defi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directions required for the intervention in the treatment and recovery of female alcoholics were discussed.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focuses on the recovery and growth experience of female alcoholics within the in therapeutic community as it has not been widely reviewed ye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적탐구 제8권 제4호 목차
- [삭제] 질적탐구 제8권 제4호 목차
- [삭제] 한 성인학습자의 유튜브 기반 학습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삭제] 비자살적 자해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삭제]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보드게임 활용 상담자의 경험 탐구
- [삭제] 홈스쿨링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형성과정에 대한 생애사 연구
- 비자살적 자해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삭제] 자녀가 있는 중년남성의 이혼 관념 재구성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홈스쿨링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형성과정에 대한 생애사 연구
- [삭제] 비 자살적 자해 대학생의 자해 중단 경험
- [삭제] 여성 알코올 중독자의 치료공동체를 통한 회복과 성장에 관한 생애사 연구
- 교육현상 탐구에 있어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에 기반한 질적연구방법론의 의미와 쟁점 탐색
- 자녀가 있는 중년남성의 이혼 관념 재구성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보드게임 활용 상담자의 경험 탐구
- 사회과학 연구방법론으로서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개념 탐색
- [삭제] 사회과학 연구방법론으로서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개념 탐색
- 한 성인학습자의 유튜브 기반 학습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삭제] 성인 발달장애인의 직업생활 경험 탐구
- COVID-19 상황을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만다라를 통한 자기 돌봄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삭제] 교육현상 탐구에 있어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에 기반한 질적연구방법론의 의미와 쟁점 탐색
- 성인 발달장애인의 직업생활 경험 탐구 -지적장애인을 중심으로-
- [삭제] COVID-19 상황을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만다라를 통한 자기 돌봄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비 자살적 자해 대학생의 자해 중단 경험: 해석현상학적 분석
- 여성 알코올 중독자의 치료공동체를 통한 회복과 성장에 관한 생애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육과정부 부장교사의 임파워먼트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기도 A시 교육지원청 관내 12개교를 대상으로
- 교육발전특구 추진과정에 나타난 일반행정과 교육행정 간 의사결정과정 분석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