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 발달장애인의 직업생활 경험 탐구 -지적장애인을 중심으로-
이용수 162
- 영문명
- Exploration the Occupational Life Experience of Adult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cusing o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선용인(Yongin Seon) 윤선영(Sunyoung Yoon)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8권 제4호, 125~14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지적장애인의 직업생활 경험을 밝힘으로써 지적장애인의 취업 문제를 개선하는 데 이바지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취업 중인 성인 지적장애인 7명을 대상으로 하여 질적연구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심층 면담을 각각 2시간씩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연구참여자들은 직장생활을 통해 “노력하는 직업인”으로서 “특별한 가족 사랑”을 가지고 있었고, “평범하지 않은 직업생활” 속에서도 “당당한 사회인으로서의 꿈”을 꾸고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어렵게 취업한 일자리를 지키면서 인정받는 직업인이 되기 위해 자기관리를 하며 노력하고 있었다. 또한 가족의 지원을 받는 것을 넘어 가족을 지원하는 역할에 만족감을 느끼고 있었다. 직업생활의 다양한 어려움에 불안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직업생활을 통해 자아실현과 사회인으로서의 꿈을 이루고 싶어 했다. 따라서 지적장애인이 일하면서 행복하게 자립생활과 경제생활을 할 수 있도록 맞춤식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4대 보험이 지원될 다양한 직종 개발을 통한 고용 안정성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mployment problem of the adult intellectually disabled by revealing the professional life experiences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The research method was analyzed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for 2 hours each as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for 7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in employ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udy participants had “special family love” as “professionals who work hard” through their work life, and had “dreams as proud members of society” even in “unusual professional live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striving to keep hard-employed jobs and to become recognized professionals. In addition,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role of supporting the family beyond receiving family support. Although They had anxiety about various difficulties in their professional life, They wanted to achieve self-realization and fulfill their dream as a social worker through their professional life.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customized educational programs and the need for employment stability and development of various occupations to be supported by four major insurances so that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an live independently and economically happily while working.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적탐구 제8권 제4호 목차
- [삭제] 질적탐구 제8권 제4호 목차
- [삭제] 한 성인학습자의 유튜브 기반 학습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삭제] 비자살적 자해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삭제]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보드게임 활용 상담자의 경험 탐구
- [삭제] 홈스쿨링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형성과정에 대한 생애사 연구
- 비자살적 자해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삭제] 자녀가 있는 중년남성의 이혼 관념 재구성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홈스쿨링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형성과정에 대한 생애사 연구
- [삭제] 비 자살적 자해 대학생의 자해 중단 경험
- [삭제] 여성 알코올 중독자의 치료공동체를 통한 회복과 성장에 관한 생애사 연구
- 교육현상 탐구에 있어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에 기반한 질적연구방법론의 의미와 쟁점 탐색
- 자녀가 있는 중년남성의 이혼 관념 재구성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보드게임 활용 상담자의 경험 탐구
- 사회과학 연구방법론으로서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개념 탐색
- [삭제] 사회과학 연구방법론으로서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개념 탐색
- 한 성인학습자의 유튜브 기반 학습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삭제] 성인 발달장애인의 직업생활 경험 탐구
- COVID-19 상황을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만다라를 통한 자기 돌봄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삭제] 교육현상 탐구에 있어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에 기반한 질적연구방법론의 의미와 쟁점 탐색
- 성인 발달장애인의 직업생활 경험 탐구 -지적장애인을 중심으로-
- [삭제] COVID-19 상황을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만다라를 통한 자기 돌봄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비 자살적 자해 대학생의 자해 중단 경험: 해석현상학적 분석
- 여성 알코올 중독자의 치료공동체를 통한 회복과 성장에 관한 생애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육과정부 부장교사의 임파워먼트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기도 A시 교육지원청 관내 12개교를 대상으로
- 교육발전특구 추진과정에 나타난 일반행정과 교육행정 간 의사결정과정 분석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