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 자살적 자해 대학생의 자해 중단 경험: 해석현상학적 분석
이용수 222
- 영문명
- Self-Injury Interruption Experience of Non-Suicidal Self-Injuring University Students: Phenomenological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박경자(Park Kyung-Ja) 김명찬(Myeongchan Kim)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8권 제4호, 97~12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비 자살적 자해 대학생의 자해 중단 경험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자들은 Smith, Flower & Larkin(2009)이 제안한 해석현상학적 분석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연구에는 비 자살적 자해 경험이 있고 이를 중단한 대학생 3명이 참여했다. 자료는 연구 참여자들과 1:1 심층면접을 수행하여 구성했다. 연구자들은 참여자들의 개별적 사례를 분석한 후 이를 근거로 하여 공통의 경험을 분석했고 주제화했다. 공통사례에서의 주제결집으로 ‘죽움 본능의 통제 불가능’, ‘고통을 잊기 위한 고통스러운 선택’, ‘왜곡된 방식의 탈주’, ‘아웃사이더로서의 도피 전략’, ‘자해의 심연보기’, ‘상처를 삶의 근육으로 만들기’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들은 불안의 도피 수단으로 자해를 선택했으나, 그 불안의 심연을 본 후 상처 입은 존재자로서의 자기회복으로 나아갔다. 학생상담센터는 대학생들이 직면하는 다양한 문제에 개입할 수 있는 위치에서 있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대학 상담 센터의 아웃리치 기능의 활성화와 상담사들의 개인 노하우와 기법 등에 대한 전문역량강화가 필요하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논의를 했고, 비 자살적 대학생들의 자해를 예방하고 회복으로 나아갈 수 있는 상담학적 차원에서 구체적인 프로그램에 대해 제언을 했다.
영문 초록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the help of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Three non-suicidal self-injury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researcher approached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by Smith et al.,(2009).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are described in three individual case analyses and a collective case analysis. Thematic aggregation revealed the following common themes: Thematic aggregation revealed the following common themes: ‘uncontrollable death instinct,’ ‘painful choice to forget pain,’ ‘distorted methods of escape,’ ‘escape strategy as an outsider,’ ‘a look at the abyss of self-injury,’and ‘making wounds a muscle for life.’ The common themes can be recapitulated as a process of choosing self-injury to escape anxiety and engaging in self-recovery as a wounded individual after seeing the abyss of anxiety. In order to resolve this lack of support, the active role of the Student Counseling Center installed in each university is required. The Student Counseling Center is in a position to intervene in various problems faced by college students. The study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of revitalizing the outreach function of the university counseling centers as well as the personal know-how and techniques of counselors. Discussions were mad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nd specific programs were suggested at the counseling level to prevent non-suicidal self-injury of college students and move toward recover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적탐구 제8권 제4호 목차
- [삭제] 질적탐구 제8권 제4호 목차
- [삭제] 한 성인학습자의 유튜브 기반 학습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삭제] 비자살적 자해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삭제]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보드게임 활용 상담자의 경험 탐구
- [삭제] 홈스쿨링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형성과정에 대한 생애사 연구
- 비자살적 자해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삭제] 자녀가 있는 중년남성의 이혼 관념 재구성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홈스쿨링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형성과정에 대한 생애사 연구
- [삭제] 비 자살적 자해 대학생의 자해 중단 경험
- [삭제] 여성 알코올 중독자의 치료공동체를 통한 회복과 성장에 관한 생애사 연구
- 교육현상 탐구에 있어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에 기반한 질적연구방법론의 의미와 쟁점 탐색
- 자녀가 있는 중년남성의 이혼 관념 재구성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보드게임 활용 상담자의 경험 탐구
- 사회과학 연구방법론으로서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개념 탐색
- [삭제] 사회과학 연구방법론으로서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개념 탐색
- 한 성인학습자의 유튜브 기반 학습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삭제] 성인 발달장애인의 직업생활 경험 탐구
- COVID-19 상황을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만다라를 통한 자기 돌봄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삭제] 교육현상 탐구에 있어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에 기반한 질적연구방법론의 의미와 쟁점 탐색
- 성인 발달장애인의 직업생활 경험 탐구 -지적장애인을 중심으로-
- [삭제] COVID-19 상황을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만다라를 통한 자기 돌봄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비 자살적 자해 대학생의 자해 중단 경험: 해석현상학적 분석
- 여성 알코올 중독자의 치료공동체를 통한 회복과 성장에 관한 생애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개념을 둘러싼 국내 담론 경쟁 양상에 대한 비판적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