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홈스쿨링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형성과정에 대한 생애사 연구
이용수 124
- 영문명
- A Study on the Life History of Homeschooled Adolescents’ Career Identity Formation Process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지미영(Miyoung Ji) 이영남(Youngnam Lee) 김리현(Rihyun Kim)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8권 제4호, 287~31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홈스쿨링을 한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형성과정을 생애사 연구로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홈스쿨링 청소년은 삶의 과정에서 진로정체감 형성과정을 살펴보며, 이와 더불어 진로정체감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겪는 삶의 전환점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11세부터 8년간 홈스쿨링을 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2022년 8월부터 3차례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Mandelbaum의 생애사 분석 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참여자의 삶의 영역은 ‘가족적 삶의 영역- 짱이네 가족과 진로 발달에서의 환상기’, ‘제도 안의 삶의 영역- 짱이에게 학교란(학교의 의미가 없었던 이유)과 진로 발달에서의 장정기1’, ‘홈스쿨링의 삶의 영역-홈스쿨링을 통해 스스로 자신을 발견해 가는 짱이와 진로 발달에서의 장정기2’이다. 삶의 전환점은 ‘롤 모델과의 만남-동경하던 롤 모델과의 수업과 진로 발달에서의 현실기 1: 의사가 되기 위해 다시 제도권 교육으로’이다. 적응 방법은 ‘위기를 기회로-입시학원에서 알게 된 성적의 실체와 긍정적인 생각으로의 전향’과 ‘자기와의 싸움-진로 발달에서의 현실기 2: 자신에게 더 엄격하기’, ‘오뚜기처럼 다시 일어서기-입시학원 떠나 다시 도전하기’로 분석되었다. 결론 부분에서는 홈스쿨링을 한 청소년이 진로정체감 형성과정에서 필요한 의견들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depth the process of forming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who were homeschooled in a life history study. The specific research agenda is to look at the process of forming career identity in the course of life for homeschooled adolescents, and to look at the turning points in life in the process of forming career identity.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ree in-depth interviews from August 2022 for adolescents who had homeschooling for eight years from the age of 1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Mandelbaum’s life history analysis framewor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udy participants’ areas of life are defined as “Family Life Area - Fantasy in Career Development with Jjangi’s Family,” “School in the System - Why Jjangi could not find meaning in school 1,” and “Jjangi and Jangjeonggi 2 in Career Development” who discover themselves through homeschooling. The turning point in life is ‘Meeting a role model - Real life in class with a role model and career development 1: Back to institutional education to become a doctor’. The adaptation methods were analyzed as “the crisis is an opportunity- turning the grades in classrooms into reality and positive thoughts learned at the cram school,” “fight with oneself-reality in career development 2: being stricter with oneself,” and “standing again like a Ottogi-leaving the cram school and beginning a journey of new challenge.” In the conclusion section, opinions were suggested on what is necessary for teenagers who were homeschooled in the process of forming career identity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적탐구 제8권 제4호 목차
- [삭제] 질적탐구 제8권 제4호 목차
- [삭제] 한 성인학습자의 유튜브 기반 학습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삭제] 비자살적 자해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삭제]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보드게임 활용 상담자의 경험 탐구
- [삭제] 홈스쿨링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형성과정에 대한 생애사 연구
- 비자살적 자해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삭제] 자녀가 있는 중년남성의 이혼 관념 재구성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홈스쿨링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형성과정에 대한 생애사 연구
- [삭제] 비 자살적 자해 대학생의 자해 중단 경험
- [삭제] 여성 알코올 중독자의 치료공동체를 통한 회복과 성장에 관한 생애사 연구
- 교육현상 탐구에 있어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에 기반한 질적연구방법론의 의미와 쟁점 탐색
- 자녀가 있는 중년남성의 이혼 관념 재구성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보드게임 활용 상담자의 경험 탐구
- 사회과학 연구방법론으로서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개념 탐색
- [삭제] 사회과학 연구방법론으로서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개념 탐색
- 한 성인학습자의 유튜브 기반 학습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삭제] 성인 발달장애인의 직업생활 경험 탐구
- COVID-19 상황을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만다라를 통한 자기 돌봄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삭제] 교육현상 탐구에 있어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에 기반한 질적연구방법론의 의미와 쟁점 탐색
- 성인 발달장애인의 직업생활 경험 탐구 -지적장애인을 중심으로-
- [삭제] COVID-19 상황을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만다라를 통한 자기 돌봄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비 자살적 자해 대학생의 자해 중단 경험: 해석현상학적 분석
- 여성 알코올 중독자의 치료공동체를 통한 회복과 성장에 관한 생애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육과정부 부장교사의 임파워먼트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기도 A시 교육지원청 관내 12개교를 대상으로
- 교육발전특구 추진과정에 나타난 일반행정과 교육행정 간 의사결정과정 분석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