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생 관점의 교양교육 인식, 요구와 만족, 그리고 선택요인 분석

이용수 152

영문명
The Perception, Needs, Satisfaction, and Subject Selection Factor of General Education from the Sudents' Perspective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곽은주(Kwak, Eunju) 정지언(Jeong, Jieon)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6권 제6호, 27~4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양교육과정 개편과 운영에 대한 시사점 도출을 위해 학생 관점의 교양교육 인식, 요구와 만족, 그리고 선택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부산 소재 A 사립대학 재학생 1,454명의 설문 응답 결과에 대해 기초통계 분석, 학생 특성별 특징 확인을 위한 차이 분석, 요구도 파악을 위한 IPA 분석과 Borich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교육의 역할과 의미와 관련해 학생들은 교양교육은 전공 분야 외 다른 분야에 관한 관심을 제고하고, 인격을 갖춘 인간을 양성하며, 전공과목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증진하는 역할을 한다고 응답했으며, 이 응답의 결과는 성별과 계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이하다고 할 만한 점은 보편적 지성 교육이라는 교양교육의 본령과 전공교육의 보완이라는 교양교육의 도구적 역할에 대한인식에서 차이가 거의 없었다는 점이다. 둘째, 교양교육의 영역과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를 확인한 결과, 교양교육 영역의 경우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 교양교육 고유 영역보다 취업과 직접 관련된 실용 분야, 외국어나 IT 활용 영역과 같이 취업을 위해 필요한 능력과 관련된 영역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는 시대적 변화와 최신 경향을 반영한 교과 개발, 다양한 교과 개설을 통한 학생 선택의 폭 확대, 적절한 수업 난이도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셋째, 교양교육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는 보통 이상으로 만족도는 성별, 학년, 계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났다. 여학생, 1학년, 미래융합대학 학생들의 교양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교양교육 운영의 측면에서는 다양한 영역의 교과 개설을 통한 학생 선택의 폭 확대, 시대적 변화 및 최신 경향을 반영한교과 개설, 적절한 교재와 학습자료의 사용, 교수자의 수업 전문성 확보 등이 교양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양교과 선택 시 학생들은 편의성과 학습 기대를 먼저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의성 중에서도 팀 프로젝트가 없고 과제가 없거나 적은 과목을 선호하며, 학습 기대는 평소 관심 있는 주제와 흥미로운 교과목명을 우선 고려한다. 교과 선택의 경향성에도 성별, 학년, 단과대학별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양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 그리고 수업운영의 관점에서 네 가지의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erception, needs, satisfaction, and course selection factors of general education from the students’point of view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re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To this end, basic statistical analysis, difference analysis to identify student characteristics, and IPA analysis and Borich analysis to identify needs, were conducted on the response results of 1,454 students at a private university in Busa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role and meaning of general education, students responded that general education plays a role in enhancing interest among students in subjects other than those of their major, nurturing human beings with character, and promoting a new understanding of their major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respons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class. What is noteworthy is tha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students' perceptions of the main purpose of general education, which is universal intelligence education, and the instrumental role of general education, which is a supplement to major education. Second, students' needs for the domain of general education were high in those practical domain fields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employment, like career exploration and certification courses, and the associated domains for employment, like foreign languages and IT utilization fields. In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there was a high demand for subject development reflecting the changing of the times and the latest trends, the expansion of student choice through the opening of various subjects, and appropriate class difficulty. Third, overall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was above average,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by gender, grade, and field. In terms of general education operations, it has been shown that expanding the range of student selection through the opening of subjects in various areas, opening subjects reflecting the changing of the times and the latest trends, using appropriate textbooks and learning materials, and the instructors' expertis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tudent satisfac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students consider the convenience and learning expectations first when choosing liberal arts subjects. Among the convenience factors, priority is given to classes that require no team projects, and subjects with little or no assignments are preferred. When it comes to learning expectations, subjects of interest and interesting subject names are given priority. There were differences in subject selection tendencies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the college itself.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four implications were derived and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rganization, operation,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은주(Kwak, Eunju),정지언(Jeong, Jieon). (2022).학생 관점의 교양교육 인식, 요구와 만족, 그리고 선택요인 분석. 교양교육연구, 16 (6), 27-45

MLA

곽은주(Kwak, Eunju),정지언(Jeong, Jieon). "학생 관점의 교양교육 인식, 요구와 만족, 그리고 선택요인 분석." 교양교육연구, 16.6(2022): 27-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