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학공전>의 변주와 <신계후전>의 창작
이용수 65
- 영문명
- A Study on variation of Kimhakgongjeon and making of Singyehujeon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김진영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第122輯, 317~34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main goal of this paper is to examine in terms of work theory that Singyehujeon was created through the epic variation of Kimhakgongjeon. To this end, the plots and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Kimhakgongjeon and Singyehujeon, and the principle of the narrativ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works were reviewed. Based on this, the value of the two works and the significance of literary history were pointed out. First, Kimhakgongjeon and Singyehujeon have homogeneity in major plots, bu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works has expanded by using auxiliary plots in Singyehujeon. If the former is a single plot that secures the narrative portion through the enlargement of the scene, the latter is a multiple plot that satisfies the narrative portion through pixel borrowing. If the former blocked the variation at the inflection point of the narrative to become a single plot, the latter proceeded with the variation at the inflection point to have the editorial narrative character of the plural plot. Second, through the narrative principles of Kimhakgongjeon and Singyehujeon, the problem of the precedence of creation was confirmed. Kimhakgongjeon is a Korean novel based on the existing narrative. Therefore, the circular narrative worked with centripetal force, so the expansion of the narrative did not occur. On the other hand, Singyehujeon borrowed various existing pixels with the addition of an auxiliary plot, and centrifugal force worked importantly.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Singyehujeon, which adds a commercial character, was created in the simple narrative Kimhakgongjeon. Third, the value of the two works and the significance of literary history are noteworthy. When the two works were built, new-style novels appeared and were competing with classical novels. Then, a modern novel that surpassed these two appeared and tried to find a new way out. It is a group of novel works based on Chuno-narrative that can confirm such changes in detail. In other words, they include “Kimhakgongjeon,” which is woven into a single plot using traditional narratives, “Singyehujeon,” which changed it from a commercial purpose to a stratified plot, and “Tangeumdae,” which was recreated by changing the novel technique based on them.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y are a useful group of works to track the flow of Korean novel history. In this regard, it is worth noting their novel value and the significance of novel history.
목차
1. 서론
2. <김학공전>의 플롯과 서사적 성격
3. <신계후전>의 플롯과 서사적 성향
4. 서사의 원리와 두 작품의 상관성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완주 방언 활용형의 모음조화 실현 양상
- <상춘곡> 연구의 지표와 교육의 지평
-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의 종교 지도자 담화문 연구
- 재난 리터러시 관점에서의 코로나19 관련 정례브리핑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장소 기반 문학 경험 연구
- 오순택 동시에 나타난 공기적 상상력
- 간병기록 『나는 매일 엄마와 밥을 먹는다』에 나타난 노인간병에서 가정요리(家庭料理)의 의미
- 홍도 서사의 계보학
- 순창 점암촌 시기 하서 김인후의 「어암잡영(魚巖雜詠)」연구
- <김학공전>의 변주와 <신계후전>의 창작
- 韓國言語文學 第122輯 목차
- 완도군 서부지역 자생해녀의 언어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