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난 리터러시 관점에서의 코로나19 관련 정례브리핑에 대한 비판적 분석
이용수 101
- 영문명
- A Critical Analysis of the Regular Briefing on COVID-19 from the Perspective of Disaster Literacy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공나형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第122輯, 33~68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disaster literacy an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formation of disaster literacy discourse by presenting constituent factors. And from the perspective defined in this way, I tried to critically review the text structure and language usage patterns of the regular briefing related to COVID-19 by the Central Disease Control Headquarters. Ultimately,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use of disaster language that fostered disaster literacy capabilities in public areas. This study first defined disaster literacy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clarified the factors constituting disaster literacy to prepare a literacy measurement tool. Through this, this study emphasized that in the case of disaster literacy, the stages of disaster development are diverse, and the contents of the required literacy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hase of the disaster. In this paper, disaster literacy was defined in this way in three dimensions, and based on that point of view, text analysis was conducted on 190 regular briefings related to COVID-19 by the Central Disease Control Headquarters. Through thi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structural aspects of the texts,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guage used in each structure, and derive improvements.
목차
1. 들어가며
2. 재난 리터러시의 개념과 정례브리핑의 속성
3. 정례브리핑의 구조와 언어 사용 양상 분석
4.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완주 방언 활용형의 모음조화 실현 양상
- <상춘곡> 연구의 지표와 교육의 지평
-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의 종교 지도자 담화문 연구
- 재난 리터러시 관점에서의 코로나19 관련 정례브리핑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장소 기반 문학 경험 연구
- 오순택 동시에 나타난 공기적 상상력
- 간병기록 『나는 매일 엄마와 밥을 먹는다』에 나타난 노인간병에서 가정요리(家庭料理)의 의미
- 홍도 서사의 계보학
- 순창 점암촌 시기 하서 김인후의 「어암잡영(魚巖雜詠)」연구
- <김학공전>의 변주와 <신계후전>의 창작
- 韓國言語文學 第122輯 목차
- 완도군 서부지역 자생해녀의 언어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