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완주 방언 활용형의 모음조화 실현 양상
이용수 64
- 영문명
- A study on vowel harmony for conjugated form in Wanju dialect: focus on geographical differentiation aspects between southern and northern in Wanju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장승익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第122輯, 69~9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at the vowel harmony for conjugated form in Wanju dialect appears differently in southern and northern regions. Until now, Wanju has been regarded as the same dialect area as Jeonju. However, some studies have mentioned that the Wanju dialect differs geographically. To examine this, this article divides the boundaries between the southern and northern Wanju, and analyzes the data of the elderly at each point. In particular, the vowel harmony pattern that appears in the conjugated forme was analyzed. This is because vowel harmony is the main criterion for dividing the Jeollabuk-do dialect into the southeast and northwest. Therefore, it was considered useful to check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alects of the southern and northern Wanju. The vowel harmony patterns of type 1 (when the vowel of the stem is 'a, æ') were different in the southern and northern regions of Wanju. This was generally 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utheastern and northwest regions of Jeollabuk-do, respectively. And, type 2(when the vowel of the stem is 'o, ø') mainta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Jeollabuk-do dialect in both the southern and northern Wanju. In addition, it was interpreted that the vowel harmony of p-irregular verb shows the process of assimilating the vowel harmony pattern of the southern part of Wanju to the northern characteristics.
목차
1. 시작하며
2. 전북 및 인접 방언의 모음조화
3. 완주 남부와 북부의 모음조화
4. 맺으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완주 방언 활용형의 모음조화 실현 양상
- <상춘곡> 연구의 지표와 교육의 지평
-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의 종교 지도자 담화문 연구
- 재난 리터러시 관점에서의 코로나19 관련 정례브리핑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장소 기반 문학 경험 연구
- 오순택 동시에 나타난 공기적 상상력
- 간병기록 『나는 매일 엄마와 밥을 먹는다』에 나타난 노인간병에서 가정요리(家庭料理)의 의미
- 홍도 서사의 계보학
- 순창 점암촌 시기 하서 김인후의 「어암잡영(魚巖雜詠)」연구
- <김학공전>의 변주와 <신계후전>의 창작
- 韓國言語文學 第122輯 목차
- 완도군 서부지역 자생해녀의 언어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