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소 기반 문학 경험 연구
이용수 160
- 영문명
- A study of place-based literary experience: Focusing on museum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우신영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第122輯, 121~15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sign a place-based literary experience centered on literature museum education through theoretical and practical exploration of the place-based literary experience. To this end, literature research on the concept of place-based literature education (PBE), theoretical research on placeability in literary experiences, and program case studies of overseas literature museums based on place-based education were adopted as research methodologies. This article aims to define the concept of place-based literary experience as follows. It is an experience that makes certain places in the community a source of literary sense and learning, experiences the overlapping of places in the work, places in the real space, and interpreted and imagined places, and ultimately engages deeply in local literature, culture, and issues through these literary place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literary experiences were explored by dividing them into three categories: sensory, multilayer, and collective, and examples of place-based literary experiences of overseas literature museum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ategory. Activities and application plans for each category of sensitivity, multilayer, and collectivity were proposed.
목차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 장소 기반 문학 경험의 개념과 특성
3. 문학관의 장소 기반 문학 경험 사례 분석 및 교육적 설계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韓國言語文學 第122輯 목차
- 간병기록 『나는 매일 엄마와 밥을 먹는다』에 나타난 노인간병에서 가정요리(家庭料理)의 의미
- 순창 점암촌 시기 하서 김인후의 「어암잡영(魚巖雜詠)」연구
-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의 종교 지도자 담화문 연구
- 재난 리터러시 관점에서의 코로나19 관련 정례브리핑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완주 방언 활용형의 모음조화 실현 양상
- 완도군 서부지역 자생해녀의 언어 연구
- 장소 기반 문학 경험 연구
- <상춘곡> 연구의 지표와 교육의 지평
- 오순택 동시에 나타난 공기적 상상력
- 홍도 서사의 계보학
- <김학공전>의 변주와 <신계후전>의 창작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재미 한인 1세대가 상상한 19세기 역사, <홍중래전>
- 비장애인 중심 사회의 삼설기본 <노처녀가> -『모든 몸은 평등하다』(2012)를 참고하여-
- 퇴계와 율곡 한시에 나타난 자연 공간과 자연물의 성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