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춘곡> 연구의 지표와 교육의 지평
이용수 248
- 영문명
- Research Indicators and Educational Horizons in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최홍원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第122輯, 153~194쪽, 전체 4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7,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started with a question about the background and factors, paying attention to the phenomenon that today's education continues to shrink. Despite the high interest and many discussions in the field of Korean literature on , the search for educational value has not been sufficiently carried out by focusing on substantive investigations such as the issue of authenticity of the author and the controversy over the first work of the Gasa(歌辭). A solution was sought in consciousness. To this end, by examining the actual situation in the textbooks of diachronically, secured a dominant position in the early textbooks, but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continuously withdrawn and excluded. This led to the conclusion that it was necessary to explore new educational values and qualities beyond the level of literary history. Then, through the research discourse of , the research history focused on the origins of lyrics and the author's authenticity was critically reviewed, and the need for a new research methodology to lead the search for educational qualities was raised. The act-theory was born out of this necessity, and attempted a new approach and understanding of the controversy over the origin of lyrics and the authenticity of the author in the interrelationships of literature and society and literature and human subjects, respectively. In Chapter 4, it was proposed to expand the scope of education of beyond the literary history. Education such as 'the essence of literature(literature and humanity, society)', 'reception and production of literature(literature and society)', and 'attitude toward literature(literature and humanity)' Indicators and horizons were designed, and specific educational contents were explored. This shift in perspective and approach was expected to bring about a change in research and education while arousing new interest in .
목차
1. 논의의 배경 및 문제제기
2. <상춘곡> 교육의 역사적 이력과 실태 분석
3. <상춘곡>의 쟁점과 인간 및 사회와의 상관항
4. <상춘곡> 교육 외연과 지평의 확장
5. 결론을 대신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韓國言語文學 第122輯 목차
- 간병기록 『나는 매일 엄마와 밥을 먹는다』에 나타난 노인간병에서 가정요리(家庭料理)의 의미
- 순창 점암촌 시기 하서 김인후의 「어암잡영(魚巖雜詠)」연구
-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의 종교 지도자 담화문 연구
- 재난 리터러시 관점에서의 코로나19 관련 정례브리핑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완주 방언 활용형의 모음조화 실현 양상
- 완도군 서부지역 자생해녀의 언어 연구
- 장소 기반 문학 경험 연구
- <상춘곡> 연구의 지표와 교육의 지평
- 오순택 동시에 나타난 공기적 상상력
- 홍도 서사의 계보학
- <김학공전>의 변주와 <신계후전>의 창작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재미 한인 1세대가 상상한 19세기 역사, <홍중래전>
- 비장애인 중심 사회의 삼설기본 <노처녀가> -『모든 몸은 평등하다』(2012)를 참고하여-
- 퇴계와 율곡 한시에 나타난 자연 공간과 자연물의 성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