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Z세대 패션디자인전공 학생들의 가상 이미지 수용자 인식 분석

이용수 89

영문명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Virtual Image Acceptors of Generation Z Fashion Design Students: Focus on the Emotional Fashion Image of SF Films
발행기관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저자명
이규진(Lee, Kyu Jin)
간행물 정보
『지식과 교양』제10호, 163~19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1.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상의 공간에서 미래 패션디자인의 유행을 반영하고 있는 SF영화 속 패션 이미지에 대한 Z세대 패션디자인전공 학생들의 수용자 선호유형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Z세대들의 다양한 인식 유형별 특징, 취향, 감성 등을 분류해봄으로써 미래의 패션 이미지에 대한 트렌드와 소비패턴을 예측하고 패션디자인 교육의 활용에 의의가 있다. 연구의 방법은 Q 방법론(Q-methodology)으로 진행한다. Q방법론은 과학적 분석 및 객관적 데이터에 근거한 양적 방법론과는 다르게 개별 수용자의 주관적 인식 범위를 연구함으로써 피상적인 특성화 분석을 통해 수용자 성향에 기반한 오류 및 가치 연구의 공백을 메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Q 방법론에 사용된 Q 표본은 SF영화의 패션 이미지 선택에 온라인과 SF영화 관련 논문, 그리고 신문 외에, 기타 잡지를 통해 Q 모집단(Q-Population)을 수집하였고, 그중에서 정리된 30개 패션 이미지의 Q 보기를 표본화하였다. 연구 대상은 2022년 8월 수도권 대학교의 섬유패션디자인 전공 1~4학년 학생으로 패션에 대한 관심과 접근성이 높은 연령별 Z세대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소규모 P 표본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Q 분류를 위해 9점 척도의 분포모형을 사용하였다. 또한 분류와 동시에 +4(강한 동의)와 -4(강한 부정)을 선택하게 된 이유에 대해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이는 최종 수용자 인식 분석을 검증하기 위한 심층 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프로그램은 PQMethod 를 사용하였고 분석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Eigenvalue 1 이상의 요인만을 추출하여 이를 최종 결과에 적용하였다. 분석한 결과, 최종 3가지 유형을 도출하였다. 첫째, 실용성을 강조하고 실제 패션디자인 선호도를 반영한 현실적 타협형, 둘째, 시대를 앞서가는 예술적 측면을 강조하는 미래 지향형, 마지막으로 사회적 방향에서 미래를 극복하는 모험가 형이다. 결론적으로, 패션디자인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의사결정 과정에는 디자인요인, 대중의 욕망, 변화하는 사회현상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과정과 대상화를 통해 나타난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패션디자이너의 창의적·정서적 역량을 조화시키는 과정이 포함되어야 한다. Z세대 패션디자인 전공 학생들의 개인 감성, 취향, 인식 등에 대한 분석은 과학적 감성 패션 이미지의 효율적 결과물을 도출을 위한 중요한 연구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of acceptance preferences of Generation Z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design for fashion images in Science Fiction(SF) films that reflect future fashion design trends in virtual space. Through this, it is meaningful to predict trends and consumption patterns for future fashion images and to inform fashion design education by classifying the characteristics, tastes, and emotions of Generation Z by various types of perception. The research is performed with the Q-methodology. Unlike quantitative methodologies based on scientific analysis and objective data, the Q methodology expects to fill the gap in error and values in research due to audience propensity through superficial characteristic analysis by studying the scope of an individual audience's subjective perception. The Q samples used in the Q methodology collected Q-Population through online and SF film-related papers, newspapers, and other magazines, and sampled 30 Q views of fashion imag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0 first- to fourthyear students in the textile&fashion design department of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August 2022. In this study, a distribution model on a 9-point scale was used for Q classification.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on the classification for use as in-depth data to verify the end-acceptor recognition analysis, and why +4 (strong consent) and -4 (strong rejection) responses were selected simultaneously. The program used for the analysis applied the PQ Method, and in the final result, only factors with an eigen value of 1 or more were extracted and applied to increase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ree final types were derived. The first is a realistic compromise type that emphasizes practicality and reflects actual fashion design preferences, The second is a future-oriented type that emphasizes artistic aspects ahead of the times, Lastly, the third is an adventure type that overcomes the future in the social direction. In conclusi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efficiently performing fashion design work should include objectively analyzing design elements, public desires, and changing social phenomena, as well as harmonizing the creative and emotional capabilities of each fashion designer based on the data shown through objectification. The analysis of personal emotions, tastes, and perceptions of Generation Z fashion design students is expected to be an important research material for beneficial results of scientific emotional fashion images.

목차

1. 서론
2. SF 영화의 감성 패션 이미지
3. 연구방법 및 설계
4. 분석 결과
5.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규진(Lee, Kyu Jin). (2022).Z세대 패션디자인전공 학생들의 가상 이미지 수용자 인식 분석. 지식과 교양, (), 163-191

MLA

이규진(Lee, Kyu Jin). "Z세대 패션디자인전공 학생들의 가상 이미지 수용자 인식 분석." 지식과 교양, (2022): 163-1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