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불교와 민속 신앙의 만남과 결별

이용수 37

영문명
The Encounter and Separation of: Focus on the tales of Samgukyusa
발행기관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저자명
홍태한(Hong, Teahan)
간행물 정보
『지식과 교양』제10호, 9~3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1.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삼국유사 설화를 중심으로 불교와 민속 신앙의 관계를 살핀 글이다. <황룡사 9층탑>, <처용랑 망해사>, <도화녀 비형랑>, <경덕왕충담사 표훈대덕> 이야기를 통해 관계 변화상을 제시했다. <황룡사 구층탑>에서는 장사의 이적으로 구층탑이 완성되고 이를 바탕으로 삼국이 통일된다. 현실의 안정을 위해서는 불교와 민속 신앙의 공존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처용랑 망해사>에는 불교의 인물로 탑을 세워달라는 용왕이 있고 민속 신앙의 인물로는 역신을 만나는 처용랑이 있다. 불교와 민속 신앙이 공존하고 있으며 망해사의 건립, 처용 화상의 부적으로 존재하기에 두 세계가 모두 균등하게 공존하고 있다. <도화녀 비형랑>은 구체적인 불교 세계의 모습은 보이지 않지만 비형랑, 길달 등의 민속신앙 인물은 분명하다. 길달의 현실 편입을 도모하지만 길달은 이를 거부한다. 이미 현실 세계에 편입한 비형랑은 이러한 길달을 죽임으로써 민속 신앙의 현실 세계로의 편입을 단절한다. 이러한 단절은 <경덕왕 충담사 표훈대덕>에 보다 명료하게 드러난다. 불교의 인물인 충담사는 경덕왕의 명에 따라 <안민가>를 짓고 이것은 불교가 아닌 국가와 왕권이 중심이 되는 현실 세계의 종속으로 드러난다. 표훈대덕은 이보다 더 나아가 불교와 민속 신앙 모두를 감당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은 하늘과 인간계를 단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불교에 속한 인물이면서도 현실 세계에 완전하게 복속한다. 불교와 민속 신앙의 이러한 모습은 두 세계가 양립 또는 공존하고 있다가 점차 불교가 민속 신앙을 포괄하면서, 마침내 불교가 현실 세계의 중심이 되는 양상과 흐름을 보인다. 삼국유사에 수록된 네 편의 이야기는 불교와 민속 신앙의 공존과 결별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이미 현실 세계에 수용되어 중심이 된 불교와 현실 세계와 거리감이 있는 민속 신앙의 모습이 보인다. 그러므로 불교와 민속 신앙의 만남과 결별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은 현실 세계이다. 현실 세계의 주류가 되고 질서가 된 불교와 그에서 벗어난 민속신앙 세계의 처지는 다르다. 결국 결별은 현실 세계와의 관계가 달라진 두 세계의 모습이 가져온 결과이다. 서쪽에서 들어온 불교는 현실의 문제 해결에 적극 개입하면서 국가의 주도 이념이 되고 마침내는 현실의 질서가 된다. 민속 신앙은 주류가 된 것은 아니지만 그때그때의 필요에 따라 불교와 만나기도 하고 헤어지기도 한다. 불교가 굳건하게 자리를 잡는 과정에는 민속 신앙 세계가 필요하였고 탑을 세우거나 절을 지을 때에 두 세계는 협력한다. 이러한 협력의 상징으로 존재하는 인물은 처용과 비형랑, 길달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Buddhism and folk beliefs focusing on the tales of Samgukyusa. Through the stories of , , , and , the author presents how this relationships changes. In , a nine-storied pagoda is completed through the efforts of General Lee Jeok, by which the Three Kingdoms are unified. This suggests that the coexistence of Buddhism and folk beliefs is necessary for stability in reality. In , a dragon king wants to build a pagoda with a Buddhist figure, and as one of the figures in folk beliefs, Cheoyongrang meets the goddess of smallpox. Here, the two worlds of Buddhism and folk beliefs coexist equally as Manghaesa Temple was built and a picture of Cheoyong was present as a charm. In , the world of Buddhism cannot be found specifically, but figures like Biyeongrang or Gildal are obviously those from folk beliefs. This compels Gildal to be put into reality, but Gildal refuses, while Biyeongrang, who has already been incorporated into the real world, kills Gildal as a way to cut off the incorporation of folk beliefs into the real world. This disconnection is more clearly revealed in . In this work, the Buddhist figure Chungdamsa composes under the order of King Gyeongdeok, and this is shown as subordination into the real world that is centered on the state and the royal authority, not Buddhism. Pyohoon Daedeok eventually has a role to disconnect heaven from the human world even though he has the ability to handle both Buddhist and folk beliefs. He belongs to Buddhism, but he is completely subjected to the real world. This aspect of Buddhism and folk beliefs shows the pattern and the flow that the two worlds coexisted, but Buddhism became the center of the real world by gradually encompassing folk beliefs. As above, the four stories contained in Samgukyusa show the coexistence and separation of Buddhism and folk beliefs. From this, we can see that Buddhism has already been accepted in the real world and has become the center, while folk beliefs are distant from the real world. Therefore, it is the real world that has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encounter and separation of Buddhism and folk beliefs. The status of Buddhism, having become the mainstream and order of the real world, is different from that of folk beliefs that are relatively alienated from the mainstream. In summary, the separation is the result of the two worlds whose relationship with the real world has changed. Buddhism that came from the West becomes the leading ideology of the state while actively intervening in solving problems in reality and eventually forms the order of reality. Although folk beliefs have not become the mainstream, they encounter and are separated from Buddhism according to the needs in each moment. The process of establishing Buddhism firmly required the world of folk beliefs, and the two worlds cooperated to build either towers or temples. The figures that exist as the symbols of this cooperation are Cheoyong, Biyeongrang, and Gildal.

목차

1. 머리말
2. 불교와 민속 신앙의 만남 양상
3. 불교와 민속 신앙의 만남과 변화
4. 맺음말 - 불교와 만남을 보이는 민속 신앙의 의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태한(Hong, Teahan). (2022).불교와 민속 신앙의 만남과 결별. 지식과 교양, (), 9-32

MLA

홍태한(Hong, Teahan). "불교와 민속 신앙의 만남과 결별." 지식과 교양, (2022): 9-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