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통 판소리의 공연학적 역사와 전망

이용수 90

영문명
The History of Traditional Pansori and The Prospects for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발행기관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저자명
최혜진(Choi, Hye Jin)
간행물 정보
『지식과 교양』제10호, 225~24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1.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대의 판소리는 기존의 전통 판소리에 대한 다양한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고, 새롭게 창작 판소리도 많이 만들어지고 있다. 하지만 전통 판소리도 역사적으로 지속적인 변화와 실험이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전통 판소리가 변화된 지점과 우리 시대 판소리가 긍정적으로 개선시켜 나가야 할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전통 판소리의 공연 양상을 시각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19세기 중반 이후 현대 판소리에 이르기까지 판소리 공연의 모습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살폈다. 19세기에는 마당에서 소리꾼이 도포에 갓을 쓰고 공연을 하였으며, 부채는 희거나 붉은 부채를 들었다. 고수는 상대적으로 큰 북을 사용했으며, 북채의 끝이 둥근 모양이었다. 19세기 말경김준근의 그림에서 판소리는 방안 혹은 실내로 공연 공간이 변화했음을 알 수 있다. 소리꾼은 고수와 함께 공연하되 별도의 공간 구성을 하지는 않았고, 고수의 북과 북채가 현대와 비슷한 모양으로 변화되었다. 20세기 초 일제강점기 판소리의 무대는 극장으로 변화하였다. 소리꾼과 고수의 복장은 전통의 복식을 하기도 하였고, 단발과 두루마기로 간소화되기도 하였다. 특히 여성 명창들은 쪽머리에 흰 한복을 입는 것에서 점차 화려한 한복을 입는 것으로 바뀌기도 하였다. 20세기 이후 무형문화재 제도가 시작되면서, 인간문화재를 중심으로 한 판소리는 주로 무대 위에서 마이크와 조명의 기술적 영향 하에서 연행되었다. 이러한 공연 공간, 매체의 변화 속에서 판소리의 음악성도 점차 고도로 기교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전통 판소리가 시대에 따라 전형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변화될 수 있었던 반면, ‘판’의 본질을 잃어버린 부분도 있었다. 이야기성이나 극성의 약화가 그것인데, 그러한 점에서 세 가지 부분에서 전통 판소리의 발전방향을 제기하였다. 먼저 판소리의 이야기성을 회복하기 위해 아니리와 재담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점을 들었다. 다음으로 새로운 더늠의 창조와 재구성을 통해 시대의 정신을 담아야 함을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너름새의 확장과 연기 강화를 통해 판소리의 극적인 면을 확립해야 함을 제안했다.

영문 초록

In modern pansori, various experiments are being made on the existing traditional pansori, and many new creations of pansori are being made. However, traditional pansori also has historically undergone continuous changes and experiments. In this regard,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the point where the traditional pansori has changed and the tasks to be positively improved by the pansori of our time. First, the performance aspects of traditional pansori were analyzed in a visual dimension. This study examines how pansori performances have changed from the mid-19th century to modern pansori. In the 19th century, in the yard, a singer performed wearing a hat on an applicator, and held a white or red fan. The drummer used a relatively large drum, and the tip of the drumstick was roun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n Kim Jun-geun's paintings, it can be seen that the performance space for pansori has changed into a room or an indoor space. The singer performed with the master, but did not organize a separate space, and the drum and drummer of the master was changed to a shape similar to that of modern times.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stage of pansori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transformed into a theater. The traditional attire of the singer and the master was sometimes simplified with a bob and a duruma. In particular, female singers changed from wearing a white hanbok with their indigo hair to gradually wearing a splendid hanbok. As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began after the 20th century, pansori centered on human cultural assets was mainly performed on stage under the technical influence of microphones and lighting. It can be said that the musicality of pansori has gradually become highly sophisticated amid these changes in performance space and media. While traditional pansori could be changed over time without losing its typicality, there were also parts that lost the essence of 'pan'. This is the weakening of storytelling or polarity, and in this regar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raditional pansori was suggested in three areas. First of all, I heard that aniri(아니리) and wit should be strengthened to restore the storytelling of pansori. Next, it was argued that the spirit of the times should be contained through the creation and reconstruction of a new lyric(더늠).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the dramatic aspect of pansori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the expansion of neoreumsae(너름새) and reinforcement of acting.

목차

1. 머리말
2. 판의 전승과 공연 형식의 역사
3. 전통 판소리의 전형성과 발전 방향
4. 전통 판소리의 새 지평을 위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혜진(Choi, Hye Jin). (2022).전통 판소리의 공연학적 역사와 전망. 지식과 교양, (), 225-248

MLA

최혜진(Choi, Hye Jin). "전통 판소리의 공연학적 역사와 전망." 지식과 교양, (2022): 225-2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