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글로벌 경쟁력 있는 장신구 문화상품 개발 연구

이용수 110

영문명
Development of the Cultural Jewelry Having Global Competitiveness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문혜헌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5집 3권, 169~18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한국 대중문화 콘텐츠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세계적으로 급속히 성장하고 대중문화의 산업적 구조로 생산된 문화상품의 비중은 더욱 확대되어 장신구 문화상품과 K-공예의 새로운 콘텐츠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장신구 문화상품은 산업 장신구와 달리 정서적인 의미와 특정한 문화적 상징을 담고 있는 교양적인 대상이며 소비 형태는 기호적인 성격을 지니며 경제적인 효율성은 물론 심미적 만족과 표현수단을 갖추고 있는 문화적 산물의 결정체이다. 본 논문은 글로벌 장신구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이므로 수공예 장신구의 개성과 산업 장신구의 생산성을 융합시키고자 하였다. 장신구 문화상품의 주재료를 3D 프린터를 이용한 레이저 컷팅으로 활용하고 수공예 감성의 장식적인 부분은 정밀주조와 판금 등의 작업을 통해 감성을 입혀 다작으로 수량을 확보하여 합리적인 가격으로 수요층을 충족할 수 있는 디자인 개발을 시도하였다. 국내와 미국을 중심으로 미술관, 박물관의 장신구 문화상품을 분석하여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전통 장신구의 문양과 의미, 형태의 조형적 특성을 조사하고 전통 문양이나 형태에서 자주 등장하는 자연적인 요소들을 형상화하거나 확장시켜 변화를 주고 배치와 면 분할을 통해 현대적인 감성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전통적 가치와 정서적 의미를 지니면서 글로벌 시대에 맞는 장신구 문화상품 35점을 제작하여 결과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Currently, the interest and demand for the Korean pop culture contents are growing rapidly around the world. So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new contents of cultural jewelry and K-crafts is increasing. The cultural jewelry is the cultural objects that contain emotional information, meanings, and specific cultural symbols, so that its consumption is symbolic, and it is a crystal of cultural products with not only economic efficiency but also aesthetic satisfaction and means of expression. Since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lobal accessories and cultural products, it was intended to fuse the unique personality of handcrafted accessories with the productivity of industrial accessories. The main ingredients of the accessory cultural products are processed using laser cutting using a 3D printer, and the decorative parts that can not be expressed in mass-production were sensitized through handcrafted works such as precision casting and sheet metal, and the design was developed to meet the demand of customer at a reasonable price by securing a prolific quantity. The meaning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patterns seen in traditional jewelry were investigated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cultural products of art galleries and museum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by shaping or expanding the natural elements seen in the patterns or forms of traditional Korean ornaments, changes were made and modern expressions were attempted. With traditional values and meanings, jewelry cultural products suitable for the global era were produced and presented as 35 results.

목차

Ⅰ. 서론
Ⅱ. 장신구 문화상품 현황 및 분석
Ⅲ. 장신구 문화상품 개발 연구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혜헌. (2022).글로벌 경쟁력 있는 장신구 문화상품 개발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25 (3), 169-186

MLA

문혜헌. "글로벌 경쟁력 있는 장신구 문화상품 개발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25.3(2022): 169-1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