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사들의 능력주의 신념이 체제 정당화 신념과 사회정의 옹호 교육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40

영문명
A study regarding the effect of a belief in school meritocracy in a system justification belief and teacher social justice advocacy: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born in the 1990s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서한별(Seo, Hanbyul) 손준종(Son, JoonJong)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38권 제5호, 351~37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90년대생 초등 교사를 중심으로 교사의 학교 능력주의 신념이 사회체제를 정당화하는신념과 사회정의를 옹호하는 교육 실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전국 10개 시·도의 초등 교사 406명의 응답을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학교 능력주의 신념 및 체제 정당화 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두 변인이 사회정의 옹호 교육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90년대생과 다른 연령대 교사 모두 학교 능력주의 신념이 높을수록 체제 정당화신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연령대 교사들은 정치적 성향이 학교 능력주의 신념에 영향을 미치는반면, 90년대생 교사의 학교 능력주의 신념은 정치적 성향을 포함하여 다른 개인적 특성의 영향을 받지않았다. 또한, 다른 연령대 교사들에서 경제 체제 정당화를 매개로 학교 능력주의 신념이 높을수록 사회정의옹호 교육이 낮아지는 매개효과가 나타난 반면, 90년대생 교사들에서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학교능력주의 신념이 높을수록 사회정의 옹호 교육이 높아지는 직접효과만 나타났다. 결론 교육에서 공정성의 원리로 여겨지는 능력주의 신념이 현재의 지배적 체제를 합리화하는 체제 정당화신념과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90년대생 교사들의 학교 능력주의 신념이 체제 정당화를 통하지않고 사회정의 옹호 교육을 증진시키는 것은 능력주의 신념을 통해 체제 정당화 동기가 발현된다고 하여모두 불평등한 사회구조를 정당화하는 결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닐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교사들이교육적 신념으로 능력주의의 어떠한 가정을 지지하는지 분별함으로써 그들의 학교 능력주의 신념이 불평등한 구조가 아닌 정의로운 교육을 옹호하는 가치 규범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논의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certain how the belief in school meritocracy (BSM) of teachers relates to their system justification belief (SJB), and how it affects teacher social justice advocacy,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born in the 1990s. Methods: This study surveyed 406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ten cities nationwide. Multiple regression was utilized to analyze which factors affect BSM and SJB. Multiple mediation analysis was then conduct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SJB between BSM and teacher social justice advocacy.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ould appear to indicate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the BSM of a teacher is, the higher the degree of the SJB is. On the other hand, the BSM of the teachers born in the 90s was formed regardless of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while the BSM of the teachers of other ages was mainly influenced by political orientation. Lastly, the BSM of the teachers of other ages had an indirect effect of reducing teachers' social justice advocacy (TSJA) mediated by economic system justification. In contrast, the BSM of teachers born in the 90s directly promoted teacher social justice advocacy, and there was no indirect effect through the SJB. Conclusion: The findings show that the BSM, which is believed to serve as a principle of education fairness, is associated with system justification that rationalizes status quo. On the other hand, the finding that the BSM of the teachers born in 90s increased the TSJA implies that the BSM does not always lead to the result of legitimizing an unfair social structure even though the BSM connects to a system justification motive. Therefore, It is argued that, by discerning what meritocratic assumption teachers are supporting as their educational belief, their BSM could work as norms not for inegalitarian structure, but for advocating just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한별(Seo, Hanbyul),손준종(Son, JoonJong). (2022).교사들의 능력주의 신념이 체제 정당화 신념과 사회정의 옹호 교육에 미치는 영향. 교원교육, 38 (5), 351-374

MLA

서한별(Seo, Hanbyul),손준종(Son, JoonJong). "교사들의 능력주의 신념이 체제 정당화 신념과 사회정의 옹호 교육에 미치는 영향." 교원교육, 38.5(2022): 351-3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