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복지종사자의 클라이언트 폭력 경험 실태조사

이용수 313

영문명
A Study of Social Welfare Worker’s Experience on Client’s Violence: focusing on client violence experience, safety awareness, and emotional labor of social welfare workers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김소남(Kim So Nam) 박춘배(Park Choon Bae)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18호, 93~108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Y시 사회복지종사자를 대상으로 클라이언트의 폭력 경험 실태, 폭력 위험·위험대처·관리체계 및 감정노동과 정신건강 정도를 파악하여 사회복지종사자의 안전한 직무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안전 보호 지원체계와 사회복지종사자 보호 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 수행을 위하여 Y시 사회복지종사자 7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 기간은 2019년 11월 11일부터 22일까지 총 2주 동안 진행하였다. 연구내용은 Y시 사회복지종사자의 일반적 특성, 클라이언트의 폭력 경험 실태, 폭력위험으로부터 안전의식·위기대응·기관의 관리체계에 대한 실태조사 및 감정노동과 정신 건강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SPSS/WIN 2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집단별 t 검증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성이 79%로 높게 나타났고 연령은 50대가 34.3%로 가장 많았으며 40대 이상이 과반수를 차지하였다. 직종은 사회복지사 48.8%, 요양보호사 50.8%로 두 직종에 대한 복수 응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종사자의 폭력 경험실태는 언어폭력이 56%로 가장 많았으며, 신체 폭력 42%, 경제적 폭력 34%, 성적폭력 24% 순으로 나타났다. 언어적 폭력, 상해 등의 신체적 폭력에 대해 과반 수 이상이 안전하지 못하다고 응답하였다. 사회복지종사자의 위기 대응에 대한 기관의 관리체계도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 종사자의 감정노동은 5점 만점에 3.54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정신건강은 5점 만점에 2.81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특히 시설 종류별로 보면 노인여가복지시설 사회복지종사자의 감정노동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공기관 종사자가 정신건강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사회복지종사자의 위험대처와 관리체계에서 위기 대응에 대한 지식 정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기관의 관리체계도 대부분의 영역에서 갖추고 있지 않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복지종사자의 클라이언트 폭력에 대한 위기 대응 능력향상을 위한 안전 보호 교육이 필요하며, 다양한 사회복지 현장에 따른 사회복지종사자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basic data for social welfare workers in Y to present safety protection support system and protection measures for social welfare workers. This study identifies the actual status of the violence experience of clients, violence risk, risk coping, management system, emotional labor, and mental health of social workers,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730 social workers in Y.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2 weeks from November 11 to 22, 2019. As for the contents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workers in Y city, the client experience violence of social welfare workers, the awareness of safety from the risk of violence, crisis response, institutional management system, emotional labor and mental health status.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by group using SPSS/WIN 25.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emales were the highest at 79%, with 34.3% in their 50s, and the majority was in their 40s or older. As for occupations, 48.8% of social workers and 50.8% of care giver were found to have a large number of multiple responses to both occupations. Regarding the violence experience of social workers, verbal violence was the most common at 56%, followed by physical violence at 42%, economic violence at 34%, and sexual violence at 24%.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unsafe from physical violence such as verbal violence, injuries, etc. The institutional management system for social welfare workers' crisis response was also found to be weak. The emotional labor of social workers was high at 3.54 out of 5, and mental health was low at 2.81 out of 5.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emotional labor of social workers at leisu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was large, and those of public institutions were found to be prone to mental health when determined by the type of facility. In conclusion,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crisis response was low in the risk response and management system of social workers, and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institution was not equipped in most areas, which improvement seemed needed. Thus, safety protection education is needed to improve the crisis response ability of social workers against client violence, as well as the programs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social workers according to various social welfare sit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 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소남(Kim So Nam),박춘배(Park Choon Bae). (2022).사회복지종사자의 클라이언트 폭력 경험 실태조사. 안전문화연구, (18), 93-108

MLA

김소남(Kim So Nam),박춘배(Park Choon Bae). "사회복지종사자의 클라이언트 폭력 경험 실태조사." 안전문화연구, .18(2022): 93-1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