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복지종사자의 클라이언트 폭력 경험 실태조사
이용수 439
- 영문명
- A Study of Social Welfare Worker’s Experience on Client’s Violence: focusing on client violence experience, safety awareness, and emotional labor of social welfare worker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김소남(Kim So Nam) 박춘배(Park Choon Bae)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18호, 93~10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Y시 사회복지종사자를 대상으로 클라이언트의 폭력 경험 실태, 폭력 위험·위험대처·관리체계 및 감정노동과 정신건강 정도를 파악하여 사회복지종사자의 안전한 직무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안전 보호 지원체계와 사회복지종사자 보호 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 수행을 위하여 Y시 사회복지종사자 7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 기간은 2019년 11월 11일부터 22일까지 총 2주 동안 진행하였다. 연구내용은 Y시 사회복지종사자의 일반적 특성, 클라이언트의 폭력 경험 실태, 폭력위험으로부터 안전의식·위기대응·기관의 관리체계에 대한 실태조사 및 감정노동과 정신 건강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SPSS/WIN 2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집단별 t 검증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성이 79%로 높게 나타났고 연령은 50대가 34.3%로 가장 많았으며 40대 이상이 과반수를 차지하였다. 직종은 사회복지사 48.8%, 요양보호사 50.8%로 두 직종에 대한 복수 응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종사자의 폭력 경험실태는 언어폭력이 56%로 가장 많았으며, 신체 폭력 42%, 경제적 폭력 34%, 성적폭력 24% 순으로 나타났다. 언어적 폭력, 상해 등의 신체적 폭력에 대해 과반 수 이상이 안전하지 못하다고 응답하였다. 사회복지종사자의 위기 대응에 대한 기관의 관리체계도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 종사자의 감정노동은 5점 만점에 3.54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정신건강은 5점 만점에 2.81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특히 시설 종류별로 보면 노인여가복지시설 사회복지종사자의 감정노동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공기관 종사자가 정신건강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사회복지종사자의 위험대처와 관리체계에서 위기 대응에 대한 지식 정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기관의 관리체계도 대부분의 영역에서 갖추고 있지 않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복지종사자의 클라이언트 폭력에 대한 위기 대응 능력향상을 위한 안전 보호 교육이 필요하며, 다양한 사회복지 현장에 따른 사회복지종사자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basic data for social welfare workers in Y to present safety protection support system and protection measures for social welfare workers. This study identifies the actual status of the violence experience of clients, violence risk, risk coping, management system, emotional labor, and mental health of social workers,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730 social workers in Y.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2 weeks from November 11 to 22, 2019. As for the contents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workers in Y city, the client experience violence of social welfare workers, the awareness of safety from the risk of violence, crisis response, institutional management system, emotional labor and mental health status.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by group using SPSS/WIN 25.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emales were the highest at 79%, with 34.3% in their 50s, and the majority was in their 40s or older. As for occupations, 48.8% of social workers and 50.8% of care giver were found to have a large number of multiple responses to both occupations. Regarding the violence experience of social workers, verbal violence was the most common at 56%, followed by physical violence at 42%, economic violence at 34%, and sexual violence at 24%.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unsafe from physical violence such as verbal violence, injuries, etc. The institutional management system for social welfare workers' crisis response was also found to be weak. The emotional labor of social workers was high at 3.54 out of 5, and mental health was low at 2.81 out of 5.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emotional labor of social workers at leisu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was large, and those of public institutions were found to be prone to mental health when determined by the type of facility. In conclusion,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crisis response was low in the risk response and management system of social workers, and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institution was not equipped in most areas, which improvement seemed needed. Thus, safety protection education is needed to improve the crisis response ability of social workers against client violence, as well as the programs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social workers according to various social welfare sit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 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민간경비조직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와 고객지향성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 사회복지종사자의 클라이언트 폭력 경험 실태조사
- 건설산업에서 안전보건경영활동에 대한 경영진 태도의 중요성
- 화학사고 대응역량 측정연구
- 타워크레인 전문신호수의 효율적 운영체계에 대한 연구
- 모의총포 및 사제폭발물에 의한 테러 발생 위험성에 관한 연구
- 건설업 적격수급업체 선정을 위한 안전보건 수준 평가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소방대원의 안전 위협 경험
- 스포츠 폭력 억제를 위한 입법적 개선방안 모색
- 젠더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젠더 감수성에 미치는 효과
- 불법 외국인 채용 제한과 작업환경 개선이 건설 재해 저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