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건설산업에서 안전보건경영활동에 대한 경영진 태도의 중요성
이용수 190
-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Top Management’s Attitude for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Activiti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quality of safety and health measure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황성연(Hwang Seong Yeon) 이슬기(Lee Seul Ki)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18호,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21년 제정된 중대재해 처벌법과 관련하여 처벌 대상이나 처벌 수위에 대해 초점이 맞춰지고 있지만 중대재해 처벌법은 안전에 대한 투자를 비롯한 주요 권한을 갖는 경영진이 안전보건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로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한 의무를 다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대재해 처벌법의 도입취지를 확인하기 위해 안전보건 경영활동에 대한 경영진의 태도가 안전 행동 수준과 안전보건 조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경영진의 태도와 안전행동수준 간의 관계를 안전보건 경영활동의 품질의 세 가지 하위변인(충분성, 체계성, 유용성)이 매개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경영진의 태도와 안전 행동 수준 간 관계에 안전보건 조치의 품질이 매개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2018년도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IBM SPSS Statistics 23 통계분석 패키지를 활용하여 Baron,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회귀분석(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안전보건 조치의 품질의 하위요인 3가지 모두가 안전보건 경영활동에 대한 경영진의 태도가 근로자의 안전 행동 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에 부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가 안전보건 경영활동에 대해 적극적인 태도로 안전보건 경영활동의 품질을 향상시켜 안전사고를 줄이려는 중대재해 처벌법의 도입효과가 있을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2) 안전 행동 수준에 대한 경영진 태도의 직접적인 영향보다 안전보건 조치 품질이 매개변수로 포함되었을 때 설명력이 모두 높았는데 이는 안전보건 조치 품질향상을 위해서는 안전보건 경영활동에 대한 경영진의 적극적인 태도가 주요한 선행 요건임을 의미한다. 3) 안전보건 조치 품질 중 ‘충분성’에 대한 경영진의 태도의 직접적인 영향도와 설명력이 가장 높았으나 경영진의 태도의 안전 행동 수준에 대한 설명력을 가장 많이 높인 매개변수는 ‘유용성’이었다. 이는 경영진이 안전보건 경영활동에 대해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면 다양하고 많은 안전보건 경영활동을 수행하겠지만 경영진의 태도가 안전 행동 수준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유용한 안전보건 경영활동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중대재해 처벌법의 도입 근거를 데이터 기반으로 검증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경영진의 안전보건 경영활동으로 인한 안전보건 조치의 품질이 중요함을 확인했으며, 경영활동에 근로자의 안전 활동 향상을 위해서 충분성만이 아니라 유용성도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향후 안전보건 경영활동 품질평가모델 연구의 기반을 마련한 것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law focuses on punishment targets and intensity of punishment with the 'Serious Disaster Punishment Act,' which is designed to ensure that executives with critical authority, including investment in safety, fulfill their duty to prevent safety accidents. Therefore, to confirm the purpose of introducing the Serious Disaster Punishment Act, we will analyze the effect of management's attitude on safety and health measures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s attitude and safety.
To empirically verify whether the quality of safety and health measure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attitude' and 'safety behavior level,' the “2018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urvey” data was used. A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by Baron·Kenny (1986) was conduct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3 statistical analysis package.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are as follows. 1) All three factors of quality of safety and health measures partially affect management's influence on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activities on workers' safety behavior. 2) When the quality of safety and health measures was included as a parameter rather than the direct impact of management's attitude on safety and health standards, management's active attitude is the main prerequisit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afety and health measures. 3) Among the quality of safety and health measures, the direct influence and explanation of management's attitude toward “sufficiency” were the highest. Still, the parameter that made management's attitude explain higher safety behavior was “usefuln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examines the basis for introducing the Serious Disaster Punishment Act based on data.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quality of safety and health measures by management's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activities is essential. Management activities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sufficiency but also the usefulness of workers' safety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it is significant that we have prepared the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quality evaluation of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activ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예비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민간경비조직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와 고객지향성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 사회복지종사자의 클라이언트 폭력 경험 실태조사
- 건설산업에서 안전보건경영활동에 대한 경영진 태도의 중요성
- 화학사고 대응역량 측정연구
- 타워크레인 전문신호수의 효율적 운영체계에 대한 연구
- 모의총포 및 사제폭발물에 의한 테러 발생 위험성에 관한 연구
- 건설업 적격수급업체 선정을 위한 안전보건 수준 평가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소방대원의 안전 위협 경험
- 스포츠 폭력 억제를 위한 입법적 개선방안 모색
- 젠더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젠더 감수성에 미치는 효과
- 불법 외국인 채용 제한과 작업환경 개선이 건설 재해 저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