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주도의 해조류 톳 채취 관행과 소비 양상

이용수 64

영문명
The of Tot Seaweed Gathering Custom and Aspects of Consumption in Jeju Island: Focusing on the case of Jocheon-eup district
발행기관
제주학회
저자명
강수경(Kang, Soo-Kyoung)
간행물 정보
『제주도연구』제58권, 245~26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제주도의 해조류 가운데 톳과 관련한 채취 관행과 소비 양상을 연구하는 데목적을 두었다. 이 글의 전개는 톳의 채취 관행을 다루며 바다의 자원과 생태환경, 생업주체의 여건 등의 변화에 따라 그 채취 관행이 어떻게 나타나는가에 초점을 두었다. 더불어 채취한 톳이 어떤 방식으로 소비되는가도 살펴보았다. 해녀는 해조류의 생태적 속성, 어장, 물때, 바람 등을 인지하였다. 이를 토대로 환경 변화에 따라 해녀공동체의 민속지식을 발휘하여 물질 행위가 이루어졌다. 톳 채취의 관행은 어장의 운영, 채취 방식, 분배 원칙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해녀는 어촌계의 운영 규칙에 따라 어장을 이용하고 갯닦이를 통해서 톳 어장을 관리하였다. 해조류는 생태환경에 따라 채취 방식이 다르고, 톳은 공동으로 채취하여 분배하는 원칙이 관행이었다. 특히 조천읍 신흥리는 생업공동체 외 마을공동체와 분배하는 관행이 주목되 었다. 마지막으로 톳의 서식환경과 채취 시기 등의 요건이 제주도의 톳 음식문화를 형성하는 배경으로 작용하였다고 보았다. 전통어업문화는 공동체와 전통문화를 전승하는 동력이다. 따라서 환경변화에 따라 해녀공동체가 어떻게 적응해 가는가, 생업공동체 문화의 전승 양상이 주목된다.

영문 초록

This work aims to study tot (seaweed) gathering customs and aspects of consumption among the other seaweeds of Jeju. This writing covers tot-gathering customs and focuses on how the gathering customs are practiced depending on changes in conditions such as marine resources and ecological environments, residential conditions, and others. In addition, there is a brief examination of how the collected tot is consumed. Haenyeo (women divers) have recognized the ecological properties of seaweeds, fishing grounds, tides, winds, and more. They have undertaken diving based on their knowledge and wisdom of the haenyeo community and following environmental changes. Tot-gathering customs are examined in terms of the operation of the fishing grounds, collection methods, and principles of distribution. Haenyeo have used the fishing grounds depending on the operating rules of the ocheongye (village fishing cooperative), while the areas are managed through cleaning activities known as gatdaggi. Seaweeds are gathered differently according to ecological conditions, and tot is communally collected and distributed. Lastly, the tot habitat and the gathering period are considered as functioning as the foundation for the tot food culture on Jeju. Traditional fishery culture is a motive to pass down community spirit and traditional cul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how haenyeo communities adapt to environmental change alongside aspects of transmission for livelihood community cultures.

목차

Ⅰ. 머리말
Ⅱ. 해조류 톳 생태환경의 인지
Ⅲ. 해조류 톳 채취 관행
Ⅳ. 해조류 톳 소비 양상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수경(Kang, Soo-Kyoung). (2022).제주도의 해조류 톳 채취 관행과 소비 양상. 제주도연구, (), 245-267

MLA

강수경(Kang, Soo-Kyoung). "제주도의 해조류 톳 채취 관행과 소비 양상." 제주도연구, (2022): 245-2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