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제강점기 제주도민의 초등교육기관 설립 활동 연구
이용수 205
- 영문명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Elementary Education Institution by Jeju Residents in Japanese colonial era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양정필(Yang, Jeong-Pil)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58권, 153~18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일제강점기 제주도민들은 스스로의 힘으로 다수의 개량서당을 설립하였다. 그 수는 1920년대 후반에 50여 개, 1939년에 69개에 이르렀다. 개량서당은 대개 마을 주민들의 노력으로 세워지고 운영되었다. 마을 주민들은 개량서당을 보통학교로 승급시켰고, 나아가 6년제 공립학교로 발전시키기도 하였다.
학교 설립 활동은 지역별로 편차가 있었다. 북제주의 해안 마을에서 활발하였고 북제주의 중산간 마을과 남제주 마을들을 상대적으로 부진하였다. 이러한 편차는 대개 마을 간의 경제력 격차에서 비롯되었다. 당시 제주도에는 해녀의 물질 수입과 재일 제주인의 송금이라는 큰 수입원이 있었다. 해안 마을은 이 두 부문의 수입이 많아서 경제력이 우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 교육기관 설립에서 앞서 나갈 수 있었다.
제주도 마을이 지닌 강고한 공동체 문화도 학교 설립에 도움이 되었다. 제주도 마을의 주민들 사이에는 경제적 격차도 적었고, 신분제적인 제약도 거의 없었다. 그리고 오랜 기간 서로 혼인 관계로 맺어지면서 서로 가족, 친족과 같은 깊은 유대감을 갖고 있었다. 강고한 공동체 문화는 마을 단위 학교 설립 과정에서 주민들의 협력을 이끌어내 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영문 초록
In Japanese colonial era, Jeju residents established a number of Kaeryang seodangs on their own. These Kaeryang seodangs are equipped with facilities equivalent to ordinary schools. Jeju residents promoted the school to ordinary School. School establishment activities were most actively carried out in coastal villages in Bukjeju. On the other hand, the villages in Bukjeju and Namjeju were relatively inactive. The reason for this difference is that the difference in economic power between villages should be considered first. At that time, Jeju Island had two large sources of economic income. One was the material of the haenyeo and the other was the remittance of Jeju residents in Japan. Coastal villages were more active in these two factors than in other regions, so their economic power was relatively dominant, and based on this, they led the establishment of elementary education institutions.
The strong community of Jeju Island's village also helped establish a school. Modified Seodang was built on a village-by-town basis and was impossible to operate without the cooperation of villagers. The fact that many improved seodangs were built shows that the bond between the residents of Jeju Island was strong. As such, the establishment of an elementary education institution developed in Jeju Island, Japanese colonial era, is significant in that it itself shows the educational enthusiasm and educational activities of Jeju residents. And furthermore, such activities were possible in the economic, socio-cultural background of Jeju Island.
목차
Ⅰ. 머리말
Ⅱ. 초등 교육기관 설립 추이
Ⅲ. 초등교육기관 설립의 특징과 구좌면 사례
Ⅳ. 제주도민의 경제력과 마을 공동체 문화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주도의 해조류 톳 채취 관행과 소비 양상
- 일제강점기 제주도민의 초등교육기관 설립 활동 연구
- 일제강점기 濟州島漁業組合 설립과 운영
- AHP와 IPA를 활용한 지역사회 기반 관광 거버넌스에 대한 지역 주민 인식 연구
- 제주특별자치도의 학교 수 변천과 영향요인 탐색
- 제주도 강정마을의 물 문화에 대한 고찰
- 제주투자진흥지구 운영 개선방안 연구
- 부종휴의 제주도 자생식물 종 발표에 대한 해석과 의의
- 제주지역 청년세대 통일교육의 방향성과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 강평국의 일본에서의 민족운동
- 조선후기 제주지역 마애석각의 시기별 조성 내용과 특징
- 가야 고분 출토 귀걸이의 형태와 상징성
- 1960~1980년대 제주도 관광이미지에 대한 서설적 연구
- 해방직후 제주 지역 중등학교의 설립과 개편 양상
- 조선시대 제주지역 무과 운영의 실제에 관한 연구
- 제주도연구 제58권 목차
- 해방 후 제주화교 사회의 재건과정과 경제·사회적 활동에 대한 연구
- 화순곶자왈 버섯 종 다양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