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해방 후 제주화교 사회의 재건과정과 경제·사회적 활동에 대한 연구

이용수 63

영문명
A Study on the Reconstruction Process of Jeju Overseas Chinese Society After Liberation and Economic and Social Activities: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Autonomous Distric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Chinese elementary school
발행기관
제주학회
저자명
양세영(Yang, Se-Young)
간행물 정보
『제주도연구』제58권, 295~31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고는 해방 이후 제주화교 사회의 재건 과정과 그 결과가 제주화교의 생활에 미친 영향을 살펴봄으로서 현대 제주화교사를 보다 풍부하게 복원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국내 화교사 연구에 있어 해방 이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상황에서 동시대의 제주화교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전체 화교사의 지평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사실은 다음과 같다. 제주화교는 1909년 이전에 제주로 도래하여 일제강점기 동안 꾸준한 성장을 통해 화교사회를 형성하였으나, 1931년 만보산 사건과 1937년 중일전쟁의 영향으로 화교사회가 거의 붕괴하는 상황에 직면하였다. 그러나 해방이후 화교 자치구의 조직과 운영, 화교소학교 건립을 통해 화교사회를 재건 하였으며, 문화적 정체성을 확보해 나갔다. 이러한 재건활동을 기반으로 피난 등으로 제주에 유입된 내륙화교들을 제주사회에 통합시켰으며 음식업을 중심으로 활발한 경제 활동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 결과 제주화교 사회는 해방 전의 인구 규모를 능가하며 화교인구가 감소한 다른 중소도시와는 달리 70년대 후반까지 인구가 증가하는 등 활성화된 모습을 보여 주었 다. 또한, 지역문화 행사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 등을 통해 지역사회에 융화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점은 다른 지역화교와 대비되는 제주화교의 독특한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1970년대 후반이후 제주화교의 재이주 동향, 1992년 한중수교 이후 유입된 신화교와 구화교 간의 관계발전 등에 대한 연구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urther enrich the life history of Jeju Overseas Chinese(Jeju Hwagyo) by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and examining the reconstruction process of Jeju Overseas Chinese society and the impact of the results on the lives of them after liberation. In addition, when research on Chinese history in Korea is very scarce after liberation, it was intended to expand the horizon of Overseas Chinese history in Korea through this research in the same period. The main fact revealed through the study was that Jeju Chinese formed a Overseas Chinese society through steady growth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since they moved to Jeju before 1909, but the Chinese society almost collapsed as it withdrew to China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ino-Japanese War at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era. However, after liberation, the Jeju Chinese Overseas society was rebuilt through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Chinese Autonomous District and the opening of the Chinese Primary School, and cultural identity was secured. Based on these reconstruction activities, inland Chinese who flowed into Jeju due to evacuation were able to easily settle in Jeju society, and were able to carry out active economic activities centered on the food industry with existing Jeju Hwagyo. As a result, Jeju Chinese Overseas society showed an active appearance, with its population increasing until the mid-70s. it showed efforts to harmonize with the local community through continuous participation in local cultural events. This point can be said to be a unique appearance of Jeju Overseas Chinese in contrast to other local Overseas Chinese. Future research projects can be said to be studies on the trends and causes of re-migration of Jeju Chinese after the late 1970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ld hwagyo and new hwagyo which flowed into after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in 1992.

목차

Ⅰ. 서론
Ⅱ. 제주화교 사회의 재건과정
Ⅲ. 재건 이후 제주화교 사회의 활동양상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세영(Yang, Se-Young). (2022).해방 후 제주화교 사회의 재건과정과 경제·사회적 활동에 대한 연구. 제주도연구, (), 295-317

MLA

양세영(Yang, Se-Young). "해방 후 제주화교 사회의 재건과정과 경제·사회적 활동에 대한 연구." 제주도연구, (2022): 295-3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