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종휴의 제주도 자생식물 종 발표에 대한 해석과 의의
이용수 48
- 영문명
- Review on native plant species on Jeju Island published by Jong-Hyu Bu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고정군(Koh, Jung-Goon) 문명옥(Moon, Myung-Ok)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58권, 439~46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부종휴에 의해 1964년에 제주도 자생식물로 발표된 333종의 학명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102과 220속 322종 2변종 6품종으로 총 330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중 발표당시의 학명과 현재에 정명으로 정립된 학명과 일치되는 경우는 169분류군으로 51.2%에 불과하였고, 외래식물이 29분류군이 포함된 것이 특징적이었다. 식물 목록 중에는 2000년대 이후 한국 미기록으로 발표된 밤일엽아재비, 털낚시제비꽃, 그늘별꽃, 섬쇠무릎 등의 자생식물뿐만 아니라 외래식물로 1992년에 발표된 주걱개망초 등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직까지 제주도에서 확인되지 않는 종은 부싯깃고사리등 9분류군이었다. 한국 미기록 종으로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하며 제주도에 분포할 가능성이 있거나 동정에 오류로 보이는 종은 털고사리[Deparia pycnosora (H. Christ) M. Kato]로 추정되는 Deparia acrostichoides (Sw.) M. Kato 등 28분류군으로 판단되 었다. 부종휴에 의해 발표된 제주도 자생식물 목록을 현재의 식물분류체계를 통해 재정립한 결과는 제주도 내 분포하는 종의 실체와 함께 종 분포의 정보를 알리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review focuses on 333 scientific names published in 1964 by Jong-Hyu Bu. As a result, a total of 330 taxa including 102 families, 220 genera, 322 species, 2 variants, and 6 varieties were identified. Among them, the percentage of the scientific names at the time of publication corresponding with the accepted names at present accounts for mere 51.2%, 169 taxa including 29 taxa of the alien species. The recently published as unrecorded in Korea, includes native species such as Microsorum buergerianum (Miq.) Ching, Viola grypoceras A. Gray var. pubescens Nakai, Stellaria sessiliflora Y. Yabe, Achyranthes longifolia (Makino) Makino as well as alien species such as Erigeron strigosus Muhl. In addition, the species that have not yet been identified on Jeju Island were 9 taxa including Cheilanthes argenta Kunze. The number of unrecorded species in Korea but distributed in Japan, Chine, etc. amounts to 28 taxa including Deparia acrostichoides (Sw.) M. Kata, which are assumed to inhabit Jeju Island or appear to be in error in identification. The results of re-establishing the list of native plants on Jeju Island announced by Jong-Hyu Bu through the current plant taxonomy are considered to be of high value in forming the knowledge of the species distributed on Jeju Islan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주도의 해조류 톳 채취 관행과 소비 양상
- 일제강점기 제주도민의 초등교육기관 설립 활동 연구
- 일제강점기 濟州島漁業組合 설립과 운영
- AHP와 IPA를 활용한 지역사회 기반 관광 거버넌스에 대한 지역 주민 인식 연구
- 제주특별자치도의 학교 수 변천과 영향요인 탐색
- 제주도 강정마을의 물 문화에 대한 고찰
- 제주투자진흥지구 운영 개선방안 연구
- 부종휴의 제주도 자생식물 종 발표에 대한 해석과 의의
- 제주지역 청년세대 통일교육의 방향성과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 강평국의 일본에서의 민족운동
- 조선후기 제주지역 마애석각의 시기별 조성 내용과 특징
- 가야 고분 출토 귀걸이의 형태와 상징성
- 1960~1980년대 제주도 관광이미지에 대한 서설적 연구
- 해방직후 제주 지역 중등학교의 설립과 개편 양상
- 조선시대 제주지역 무과 운영의 실제에 관한 연구
- 제주도연구 제58권 목차
- 해방 후 제주화교 사회의 재건과정과 경제·사회적 활동에 대한 연구
- 화순곶자왈 버섯 종 다양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