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해방직후 제주 지역 중등학교의 설립과 개편 양상

이용수 100

영문명
Aspects of Establishment and Reorganization of Secondary Schools in Jeju Area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발행기관
제주학회
저자명
강익준(Kang, Ik-Jun)
간행물 정보
『제주도연구』제58권, 181~20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해방직후 제주 지역 중등학교 설립에 나타난 중등교육의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이다. 당시 제주는 중등학교의 팽창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역으로 일제시기 정규 중학교가 실업계 학교 2개밖에 없었던데 비해, 1949년 무렵에는 정규 중학교가 10개 가까이 늘어났다. 이는 해방직후 내재된 제주도민의 중등교육 수요가 나타난 것으로 학교 설립 양상을 통해 중등교육의 변화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해방직후 제주의 중등학교는 비정규 사설 중학원에서 정규 중학교로의 개편 양상을 띄었다. 1945년 이후 제주 지역 중학원의 급격한 증가는 중등교육의 확대에 대한 지역 사회의 내적 공감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1946년 후반기 이후 제주도 제와 미군정 신학제의 실시로 행정기구가 확대되고 중학원의 제도권화가 진행되었다. 당시 제도권 정규 학교로의 개편은 행정당국에 의한 행정력의 강화뿐 아니라, 해당 학생들에게 중등학교 학력이 상급학교 진학과 취업에 용이하였기 때문이기도 했다. 해방 직후 설립된 다수의 중학원은 점차 제도권 정규 중학교로 개편되어 갔고 이는 제주 지역 중등학교의 기반이 되었다.

영문 초록

This is a study on the aspects of changes in secondary education that appeared in the establishment of secondary schools in Jeju area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At that time, Jeju was a representative region showing the expansion of secondary school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 were only two regular middle schools, but by 1949, the number of regular middle schools increased to ten. This indicates that the inherent demand of Jeju-do residents for secondary education surfaced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and the meaning of changes in secondary education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aspects of school establishment.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secondary schools in Jeju showed the aspects of reorganization from non-regular private middle schools to regular middle schools.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middle schools in Jeju area after 1945 was made possible due to the internal sympathy of local community for the expansion of secondary education. After the second half of 1946,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expanded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middle schools was carried out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Jeju-do provincial system and the U. S. military government’s new school system. At that time, the reorganization of the system into regular schools enabled not only the administrative authorities to strengthen the administrative power, but also made it easy for students with academic background of secondary school to enter into higher education or get a job. Many middle schools established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were gradually reorganized into regular middle schools in the system, which became the foundation of secondary schools in Jeju.

목차

Ⅰ. 머리말
Ⅱ. 1945-1946년 전반기 중학원의 설립
Ⅲ. 1946년 후반기 이후의 제도권 정규 학교화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익준(Kang, Ik-Jun). (2022).해방직후 제주 지역 중등학교의 설립과 개편 양상. 제주도연구, (), 181-209

MLA

강익준(Kang, Ik-Jun). "해방직후 제주 지역 중등학교의 설립과 개편 양상." 제주도연구, (2022): 181-2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