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주특별자치도의 학교 수 변천과 영향요인 탐색
이용수 45
- 영문명
- Analysis on the Transitional Process of Schools’ Number and Its Influential Factor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김경옥(Kim, Kyoung-Ok) 이인회(Lee, In-Hoi)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58권, 269~29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의 학교 수 변화를 기반으로 학교 변천의 추이를 파악하고 그변천에 영향을 미친 핵심 요인들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심층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은 초·중등학교의 교장 경력이 있으며 교육청의 장학관 또는 국·과장을 역임한 전직 교원 4명을 대상으로 2020년 10 월 17일∼11월 28일 사이에 진행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의 학교 수 변천 추이는 태동기, 정초기, 양적 발전기, 질적 전환기의 4단계로 나타났다. 둘째, 제주 학교의 변천에 영향을 준 요인들은 정초기를 제외하고 교육정책 외적 요인이 교육정책 요인보다 크게 영향을 주었다. 이는 당시 제주가 직면한 사회적 상황, 교육과 관련한 이해집단과의 상호작용 등의 교육정책 외적 요인이 작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해당 교육청이 향후 학교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ransitional process of schools’ number and to analyze the essential factors affecting the school transition based upon the change in the number of schools in Jeju. To accomplish it, the study used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view survey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Oct. 17th through Nov. 28th, 2020, with the former four principals who had experienced managers, directors, or supervisors of the educational offic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ransitional process of schools in Jeju was revealed in four stages of fomentation, foundation, quantitative expansion, and qualitative transition. Second, the essential factors that influenced the transition of schools in Jeju were non-policy factors rather than policy factors on all stages except for the foundation one. The results would be used as the basic resources for future policy making in the educational offi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주도의 해조류 톳 채취 관행과 소비 양상
- 일제강점기 제주도민의 초등교육기관 설립 활동 연구
- 일제강점기 濟州島漁業組合 설립과 운영
- AHP와 IPA를 활용한 지역사회 기반 관광 거버넌스에 대한 지역 주민 인식 연구
- 제주특별자치도의 학교 수 변천과 영향요인 탐색
- 제주도 강정마을의 물 문화에 대한 고찰
- 제주투자진흥지구 운영 개선방안 연구
- 부종휴의 제주도 자생식물 종 발표에 대한 해석과 의의
- 제주지역 청년세대 통일교육의 방향성과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 강평국의 일본에서의 민족운동
- 조선후기 제주지역 마애석각의 시기별 조성 내용과 특징
- 가야 고분 출토 귀걸이의 형태와 상징성
- 1960~1980년대 제주도 관광이미지에 대한 서설적 연구
- 해방직후 제주 지역 중등학교의 설립과 개편 양상
- 조선시대 제주지역 무과 운영의 실제에 관한 연구
- 제주도연구 제58권 목차
- 해방 후 제주화교 사회의 재건과정과 경제·사회적 활동에 대한 연구
- 화순곶자왈 버섯 종 다양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