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야 고분 출토 귀걸이의 형태와 상징성
이용수 650
- 영문명
- Shape and Symbolism of Earrings excavated in Gaya’s ancient-tombs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김찬수(Kim, Chan-Soo) 최병기(Choi, Byoung-Ki) 서연옥(Seo, Yeon-Ok)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58권, 129~162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가야 고분에서 출토된 수 점의 귀걸이들이 당시 뛰어난 금속세공 기술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로서 가치를 인정받아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들 귀걸이는 세환 이식의 특성을 나타내며, 수하식장식에서 공통으로 특정의 열매 모양 및 심엽형 장식이 확인되었다. 이 장식은 산치자형으로 규정되었으며, 시대를 대표하는 반복적인 조형물로해석되었다.
본 연구는 산치자형으로 규정된 수하식장식에 대하여 장식의 형태, 산치자의 자생여부, 역사적 기록, 생활 속 활용 정도 및 중요성 등을 고려하여 장식의 기원에 대해고찰하였다. 저자들은 가야 귀걸이들이 달걀 거꾸로 된 모양, 단면이 삼각형인 날카로운 삼릉형, 삼릉형 끝의 돌기 형태, 심엽형의 장식, 전국적 재배 작물화, 중요한 식량원이자 땔감, 자청비전을 포함한 다양한 역사 문화적 기록, 생명성과 다산성의 상징성 등에 대한 특성에서 산치자가 아닌 메밀로 판단했다. 이는 귀걸이 장식이 단순히 화려한꾸밈 기능만이 아닌 당시 시대에서 생존과 밀착되어 있으며, 활용성이 높았던 메밀의중요성을 나타내는 사료이다. 나아가 이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유지하는 집단이 국가의 지배계급의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론되었다.
가야 귀걸이의 이러한 형태는 주변 국가인 백제와 신라, 일본의 장식 문화에까지 영향을 미쳐 공통적인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이 형태의 중심이 된 가야 출토물에 대한 올바른 규정이 관련 영향권 국가와 지역에 대한 역사 문화적인 해석에 중요한의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가야 고분에서 출토한 황금귀걸이의 형태와 상징성 등에 대한 명확한 해석을위해서는 가야의 통치체제를 비롯한 왕권의 전개 과정, 농업 발달사, 신라와 백제의 관련 유물과 비교, 언어학적 자료의 비교검토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hanging earrings, recently excavated from the Gaya’s ancient-tombs, were designated as treasures as they were recognized for their value as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s that showed outstanding metalworking skills at the time. These earrings exhibit the characteristics of Thin Solid Earrings, and in the decoration of the bottom of the main ring, a specific fruit shape and heart-shaped decoration were identified in common.
This decoration was defined as a Cape Jasmine-type, and was interpreted as a repetitive sculpture representing the era.
This study discussed the origins of ornamental decorations defined as the Cape Jasmine-type (Sanchija-type) by considering the shape of the ornament, whether or not the Cape Jasmine (Gardenia jasminoides J. Ellis; Korean name Sanchija) was native to southern Korea, historical records, and the degree and importance of use in daily life.
The authors reported that the Gaya earrings excavated from Gaya’s ancient-tombs recently have an obovate shape, a sharp trigonous shape with a triangular cross section, a spur shape at the tip of a triangular shape, a heart-shaped ornament, nationally cultivated domestication, an important food source, and firewood. In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historical and cultural records including Jacheongbijeon, and the symbolism of vitality and fertility, it was decide as Buckwheat-type rather than Cape Jesmine-type.
This is a historical document that shows the importance of buckwheat, which was highly useful and closely related to the survival of the time, as well as the decorative function of earrings. Furthermore, it was inferred that the group that stably managed and maintained it played a role as the ruling class of the state.
This type of the earring in Gaya influenced the decorative culture of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Baekje, Silla, and Japan, and a common form is appearing.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correct regulation of the Gaya excavations, which has become the center of this type, can provide important meaning 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interpretation of the countries and regions of the relevant sphere of influence.
In the future, for a clear interpretation of the shape and symbolism of the golden earrings excavated from the Gaya’s ancient tombs, the development process of royal power including the governance of Gaya, the history of agricultural development, comparison with related relics of Silla and Baekje, and comparative review of linguistic data Research is needed.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주도의 해조류 톳 채취 관행과 소비 양상
- 일제강점기 제주도민의 초등교육기관 설립 활동 연구
- 일제강점기 濟州島漁業組合 설립과 운영
- AHP와 IPA를 활용한 지역사회 기반 관광 거버넌스에 대한 지역 주민 인식 연구
- 제주특별자치도의 학교 수 변천과 영향요인 탐색
- 제주도 강정마을의 물 문화에 대한 고찰
- 제주투자진흥지구 운영 개선방안 연구
- 부종휴의 제주도 자생식물 종 발표에 대한 해석과 의의
- 제주지역 청년세대 통일교육의 방향성과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 강평국의 일본에서의 민족운동
- 조선후기 제주지역 마애석각의 시기별 조성 내용과 특징
- 가야 고분 출토 귀걸이의 형태와 상징성
- 1960~1980년대 제주도 관광이미지에 대한 서설적 연구
- 해방직후 제주 지역 중등학교의 설립과 개편 양상
- 조선시대 제주지역 무과 운영의 실제에 관한 연구
- 제주도연구 제58권 목차
- 해방 후 제주화교 사회의 재건과정과 경제·사회적 활동에 대한 연구
- 화순곶자왈 버섯 종 다양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