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농담 연구를 위한 매체적 접근의 필요성

이용수 72

영문명
The necessity of a media approach for the study of jokes: Focusing on the concept of humor and wit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제23권 제2호, 863~89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5.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농담을 하나의 매체로 파악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현대 사회에서 농담은 종종 유머 또는 위트와 동의어로 쓰이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유머와 농담은 동의어가 아니고 위트와 농담도 동의어가 아니다. 물론 유머와 위트 역시 개별적인 특징에서 차이가 있는 다른 개념이다. 현대 사회에서 농담과 관련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농담을 듣는 사람이 농담을 왜곡 해석하여 농담-화자와 농담-청자 사이의 소통에 오해가 발생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 농담-화자는 자신의 의도와는 다르게 상대방의 감정을 상하게 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농담-청자는 농담-화자에 대해 부당한 평가를 내릴 수 있다. 또 다른 하나는 농담의 사용이 사회적 편견을 강화시키는 경우이다. 이러한 문제는 앞의 상황과 다르게 농담-청자가 농담-화자의 사회적 편견이 담긴 농담에 공감했을 때 생길 수 있으며 농담-화자 자신이 농담을 사용할 때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동의어처럼 쓰이는 유머 개념과 위트 개념은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 우스운 즐거움을 발견한다는 의미를 가진 유머로 농담을 파악했을 때, 소통의 문제에 대해서는 도움을 줄 수 있겠지만 사회적 편견의 강화에 대해선 어떠한 도움도 주지 못한다. 또한 서로 다른 생각이나 상황을 감각적이게 연결 짓는다는 의미를 가진 위트는 농담을 해석하는데 도움을 줄 뿐이지 그 너머에 있는 농담의 특징에 대해서는 다루지 못한다. 따라서 위트 개념 역시 유머 개념과 마찬가지로 농담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농담을 분석하기 위해서 유머나 위트와 같은 유사 개념으로부터 농담을 분리해내고 농담 그 자체를 분석할 수 있어야 함을 말한다. 타인과의 소통 차원에서 농담은 메시지를 주고받는 하나의 매체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농담을 여러 분야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농담이 가지는 매체적 특징을 연구해야 하는데, 본고는 그러한 연구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rgues that jokes need to be identified and analyzed as a media. In modern society, jokes are often synonymous with humor or wit. But humor and jokes are not synonyms, and wit and jokes are not synonymous. Of course, humor and wit are also different concepts that differ in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re are two major problems that can arise with jokes in modern society. One is the case where the joke-listener misinterprets the joke and misunderstand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joke-speaker and the joke-listener. In this case, the joke-speaker may hurt the other person's feelings contrary to his/her own intention, and the joke-listener may give an unfair evaluation of the joke-speaker. Another is when the use of jokes reinforces social prejudice. Unlike the previous situation, this problem may occur when the joke-listener sympathizes with a joke that contains the joke-speaker's social prejudice, and can occur when the joke-speaker himself uses the joke. To solve this problem, the concept of humor and wit, which are used as synonyms, do not help much. When a joke is identified as a joke with the meaning of finding funny pleasure, it can help with communication problems, but it does not help at all in the problem reinforcing social prejudice. Also, wit, which has the meaning of sensibly connecting different thoughts or situations, only helps to interpret the joke, but does not addr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ke beyond it. Therefore, the concept of wit, like the concept of humor, is not very helpful in solving the problem of jokes. Therefore, this thesis says that in order to analyze jokes, it is necessary to separate jokes from similar concepts such as humor and wit and analyze jokes themselves. In terms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jokes are a media for exchanging messages. Therefore, in order to use jokes in various fields in the long term,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jokes, and this paper aims to assert the necessity of such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유머와 농담의 관계
Ⅲ. 위트와 농담의 관계
Ⅳ. 농담에 대한 매체적 접근의 필요성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농담 연구를 위한 매체적 접근의 필요성. 인문사회과학연구, 23 (2), 863-892

MLA

. "농담 연구를 위한 매체적 접근의 필요성." 인문사회과학연구, 23.2(2022): 863-8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