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원대 시안론 고찰

이용수 35

영문명
The Eye of Poem in the Yuan Dynasty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제23권 제2호, 413~43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5.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시안(詩眼)은 고전시가 비평용어로서 한 편, 또는 한 구에서 가장 뛰어난 미적 효과를 발휘하는 글자를 말한다. 원대 문인들은 송대 시학의 성취를 계승하여 시법(詩法)의 개념으로 창작의 문제를 사고했다. 당송대의 명시 명구를 분석하여 규범화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익히면 높은 수준의 창작이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원대 문인들은 글자 선택의 원칙을 제시할 때 합당(當), 적절(切)이란 개념을 자주 썼다. 그런데 이 말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나 예시를 보면 시의를 정확하게 전달하면서도 속되지 않고 전아하며 현실을 비판할 때도 노골적이지 않고 완곡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그들이 자법에서 말하는 아름답다(佳)는 말은 대체로 이런 성격이다. 원대 시학이 송대 사대부 취향의 문학전통을 계승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일 것이다. 높은 수준의 전고 사용을 강조한다는 점도 그렇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작성된 표현들이 문학적 맛(味)을 도출할 때 명작이 탄생하는 것이다. 시안의 구사에 대해 송대 문인들은 한 구에 한 개의 시안, 오언시는 세 번째 글자, 칠언시는 다섯 번째 글자를 기본 원칙으로 했다. 그런데 원대 문인들은 이에 비해 좀 더 유동적으로 생각했다. 양재와 방회는 어느 위치에나 시안을 둘 수 있으며 여러 구절에 분산되어 복수로 있을 수도 있고 구절마다 있을 수도 있다고도 했다. 특히 방회는 허자 시안 구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시안론의 문제는 기교를 지나치게 강조하여 시 창작을 기능화, 도식화한다는 점에 있다. 반면 황창로는 시안의 필요성에는 동감하지만 인위적인 기교가 아니라 창작의 묘오를 체득하여 자연스럽게 얻어지는 시안을 중시했다. 그는 자연미를 인공미보다 우월한 미감으로 생각했다. 황청로의 시안론은 원대 시안론의 문제를 보완하는 의미가 있다. 시의 예술적 특성에 대한 본질적 사고를 제시했을 뿐 아니라 시안론의 흐름이 명청 시대에 이르러 새롭고 다양한 방향으로 갈 수 있는 단초를 제공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Eye of Poem“ is a term of criticism of classical poem, which means the letters showing the most excellent aesthetic effect in one paragraph or one sentence of poem. The precondition of the eye of poem is the creativity of linguistic command. For this, first, after throwing away outdated expressions, the new and unfamiliar poetic diction should be found. The writers in Yuan Dynasty of China emphasized the importance in the selection of letters in creation of poems and thought that the artistic taste shall be made through the pursuit and use of euphemistic expression and elegant words. In the use of Eye of Poem, the scholars during Yuan dynasty has the following principles. Only one Eye of Poem shall be used for one paragraph; It shall be put in the third letter in the Five character poem or in the fifth letter in the Seven character poem. But the scholars in the Yuan dynasty were more flexible than this principle. YangZai and FangHui argued that they may be put at any place, and that they may be scattered any place or put in multiple or in any paragraph. Especially, FangHui emphasized the exercise of Heoja Eye of Poem. But the problem in Eye of Poem is that it puts too much emphasis on the skill, thus leading the creation of poem to the issue of function and graphics. On the other hand, HuangQingLao agreed on the necessity of Eye of Poem but emphasized the natural one which is acquired through the embodiment of creation rather than artificial skill. he thought that the natural beauty is better than the artificial beauty. HuangQingLao’s Eye of Poem has an implication that it makes up for the problem of Eye of Poem during Yuan dynasty.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원대 시학의 언어관
Ⅲ. 시안의 규칙에 대한 논의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원대 시안론 고찰. 인문사회과학연구, 23 (2), 413-437

MLA

. "원대 시안론 고찰." 인문사회과학연구, 23.2(2022): 413-4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