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국정운(東國正韻)』안의 개음절 복수음을 갖는 입성자에 대한 연구

이용수 30

영문명
A study on multiple sound of entering tone with open syllable in 『Dongguk jeongun』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제23권 제2호, 439~46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5.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편찬된 운서『동국정운』은 우리나라의 한자음을 전면적으로 기록한 운서이다. 『동국정운』에 대한 기존 연구는『고금운회거요』의 비교에만 집중되어 있어『동국정운』의 성격에 대한 전면적인 규명이 어려웠다. 『동국정운』은『광운』, 『집운』, 『고금운회거요』,『홍무정운』과 같은 다양한 운서와의 개별 글자에 대한 비교와 성,운모의 분석, 당시 중국의 현실음에 대한 비교 등 다각도의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동국정운』의 ‘高杲誥’운에 나타난 개음절음을 복수음으로 갖는 52개의 입성자를 대상으로 역대 중국 운서에서 나타난 모든 반절과 비교하고,『동국정운』에 나타난 개음절음과 반절의 성, 운모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19개의 글자가 가진 24개의 개음절음이『동국정운』의 상동(上同)이 표기한 이체자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나머지 음의 경우『광운』,『집운』,『고금운회거요』, 『홍무정운』중의 전체, 혹은 일부에서 개음절음의 반절이 나타났고, 『집운』, 『고금운회거요』,『홍무정운』이 비슷한 비율로『동국정운』에 나타난 개음절음과 동일한 반절을 싣고 있었다. 이 중 ‘貌’는 해당하는 개음절음 반절을 찾을 수 없었는데, 역대 문헌에서는 ‘敎’를 반절하자로 썼지만, 『동국정운』에서 ‘ᅟᅩᇢ’운모, 즉 i개음이 없는 형태로 기록되었다. 『중원음운』도 이 글자에는 i개음이 없으므로 이는 당시 실제 중국음에 기반한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동국정운』 의 개음절음이『집운』, 『고금운회거요』,『홍무정운』과 비슷한 확률로 일치하고, 또한『광운』에는 개음절음으로만 나오는 글자가『집운』에서부터 본격적으로 입성운의 음이 함께 출현하는데,『홍무정운』만 수록된 입성운의 음도 수록하고 있다는 사실은 앞으로의 연구가 『집운』, 특히『홍무정운』과의 비교도 새롭게 이루어져야 필요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高杲誥’운에 등장하는 개음절음을 복수로 갖는 글자를 대상으로 했기에, 본 연구로 인한 결론이 『동국정운』의 전체 성격을 귀납하기에 부족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글자에 대한 음과 이에 대한 역대 운서 안의 반절과 상세한 비교를 진행했다데 의의가 있다. 추후『동국정운』의 모든 수록자와 역대 중국 문헌의 모든 반절, 성모, 운모, 성조에 대한 비교 연구 성과가 축적되어『동국정운』의 성격이 온전히 규명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Dongguk Jeongun』is the first rhyme book in Korea that recorded Korean sound of Chinese characters after creation of Hangeul. It has a very high value as a rhyme book all of our Chinese characters since the creation of Hangeul, but it was difficult to clearly identify the phonological features due to the difficulty of the system. The existing research on 『Dongguk Jeongun』 is concentrated on comparision of 『Gujin Yunhui Juyao』. So, it was difficult to fully investigate the character of 『Dongguk Jeongun』. 『Dongguk Jeongun』 needs to be studied from various angles. Including comparison of individual letters with various rhyme book such as 『Guangyun』, 『Jiyun』, 『Gujin Yunhui Juyao』, and 『Hongwu Zhengyun』. As well as comparison of real sounds in China at the time. There are many entering tone characters which also have open syllable sounds. So, this study limited the scope of the study to ‘go-go-go(高杲誥)’ final group. In ‘go-go-go(高杲誥)’ final group in『Dongguk Jeongun』, There are 52 entering tone which has open syllable as mutiple sound. And 24 sounds of 19 characters of open syllable sound have ‘sang-dong(上同)’ character. ‘Sang-dong(上同)’ indicates a variant form of Hanzi Character, so if it has a open syllable sound, it means the entering tone character also has open syllable sound. Rest of sounds have same sound with fanqie of 『Guangyun』, 『Jiyun』, 『Gujin Yunhui Juyao』, and 『Hongwu Zhengyun』. Most of the open syllable sounds are based on fanqie of these Chinese rhyme book. Furthermore, the posibility reflecting『Jiyun』,『Gujin Yunhui Juyao』, and『Hongwu Zhengyun』is similar, which shows『Jiyun』and『Hongwu Zhengyun』needs further study. Only ‘mo(貌)’ could not find correspoding fanqie. And this is maybe the evidence of ‘mo(貌)’ based on Modern Chinese sound. Plus, In『Guangyun』, the letters that only appear in the opening syllables appear with entering tone from『Jiyun』. The fact that it also contains entering tone which only contains 『Hongwu Zhengyun』shows the need for a new comparison with 『Jiyun』, especially『Hongwu Zhengyun』. Since this study targeted characters with multiple open syllables appearing in the ‘go-go-go(高杲誥)’ final group,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may be insufficient to imply the overall character of『Dongguk Jeongun』. However, it is meaningful that a detailed comparison was conducted with the notes for each character and fanqie previous Chinese rhyme book.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Dongguk Jeongun』 can be fully identified by accumulating comparative research results on all the contents of 『Dongguk Jeongun』 and all the initial, final, tones of previous Chinese rhyme book.

목차

Ⅰ. 서론
Ⅱ. 『동국정운』안의 개음절 복수음을 갖는 입성자의 주석(注釋)과 상동(上同)이 표기된 글자 분석
Ⅲ. 『동국정운』에서 개음절음을 갖는 입성자의 역대 운서안의 반절과 대응 양상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동국정운(東國正韻)』안의 개음절 복수음을 갖는 입성자에 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23 (2), 439-466

MLA

. "『동국정운(東國正韻)』안의 개음절 복수음을 갖는 입성자에 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23.2(2022): 439-4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