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학습공동체 활동성과에 따른 참여역량 분석

이용수 113

영문명
An Analysis of Competency among Learning Community Participants Depending on their Performance: Focusing on the Comparisons between High and Ordinary Performers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김주연(Kim, JooYeon) 이재준(Lee, JaeJun) 임이랑(Lim, IRang)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6권 제2호, 373~38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의 경험분석을 바탕으로 일반집단과 우수집단 간 참여역량 비교를 통해 학습공동체 성공요인을 도출하고, 학습공동체 효과 제고를 위한 지원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습공동체 활동에 참여한 학생 111명을 대상으로 성찰일지를 수집하고,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이들의 학습경험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두 집단의 반응빈도를 비교한 결과, 전체 54개 문항 중 35개 문항에서 우수 집단의 반응빈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7개 문항에서 일반집단의 반응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둘째, 학습공동체 활동성과에 따른 참여역량을 비교한 결과, 우수집단은 표현능력, 자기성찰능력, 문제해결능력, 협업능력, 집단운영능력, 학습목표설정 순으로 높은 반응빈도를 보였으며, 일반집단은 문제해결능력, 집단운영능력, 표현능력, 협업능력 순으로 높은 반응빈도를 보였다. 셋째, 효과적인 학습공동체 운영을 위한 성공요인은 ‘지속강화’, ‘중점지원’, ‘추가지원’ 참여역량으로 구분하여 총 6개(문제해결을 위한 다각적 접근, 공동체 운영계획 수립과 공유, 자유롭고 명확한 개인 의사표현, 공동의 목표달성을 위한 과업수행, 자기이해를 통한 자기성장, 구체적인 학습목표 설정과 일정 관리)로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학습공동체 운영을 위한 시사점과 추후 연구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rive specific critical success factors using comparison analysis between a high performing group and an ordinary performing group who participated in a learning community and to propose support methods enhancing the effects of learning communities. For these purposes, the data from the reflective journals written by 111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a matrix designed for the content analysis. The main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the comparison data on the response frequency of the two groups revealed that the high performing group responded more frequently than the other group in 35 out of 54 items and that the ordinary group responded relatively more frequency in 7 items. Second, the results from comparing the competencies of the two groups showed that the high group’s frequency of participants’competencies we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other group. The factors more frequently commented by the high performers are listed as follows: expression, self-reflection, problem solving, collaboration, group operation, and learning goal-setting. According to the data on the other group, the factors more frequently used were problem solving, group operation, expression, and collaboration. Third,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any given learning community, the six critical success factors namely, a multifaceted approach for problem-solving, planning and sharing operation plans, a free and clear expression of oneself, task performance for achieving common goals, self-growth from self-understanding, and specified goal-setting and scheduling, are classified by the following three dimensions of continuous reinforcement, prior support, and additional support. In conclusion, implications for effective learning communities and suggestions for following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주연(Kim, JooYeon),이재준(Lee, JaeJun),임이랑(Lim, IRang). (2022).대학 학습공동체 활동성과에 따른 참여역량 분석. 교양교육연구, 16 (2), 373-389

MLA

김주연(Kim, JooYeon),이재준(Lee, JaeJun),임이랑(Lim, IRang). "대학 학습공동체 활동성과에 따른 참여역량 분석." 교양교육연구, 16.2(2022): 373-3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