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진로적응성 및 진로장벽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310

영문명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re Competencies,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Barriers of College Students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이난(Lee, Nan)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6권 제2호, 437~45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SUPER 핵심역량과 진로적응성 및 진로장벽의 관계를 분석하여 향후 대학에서 대학생의 진로발달과 교육을 위해 핵심역량의 연계성을 인식하도록 하는데 의의를 두고, J대학교 대학생 309명을 대상으로 SUPER 핵심역량, 진로적응성 및 진로장벽을 측정하여 SPSS ver 25.0과 AMOS ver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첫째,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일부 핵심역량이 높게 나타나고, 의과학대학이 높게 나타나 고 경영대학이 낮게 나타났다. 진로장벽의 나이문제는 남학생과 3학년이 높게 나타나고, 직업정보부족과 흥미부족 및 미래불안은 의과학대학이 높게 나타나고 문화관광대학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각 연구변수 의 정규분포성 충족 여부 검증을 위해 왜도와 첨도의 기준을 만족하였으며, 핵심역량과 진로적응성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고, 핵심역량은 진로장벽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진로적응성과 진로장벽과도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 구조회귀모형의 추정가능성과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양호한 적합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각 변인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넷째, 진로적응성에 대한 핵심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49.8%의 설명력을 지니고 있었으며, 진로장벽에 대한 핵심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진로장벽에 대한 진로적응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37.8%의 설명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핵심역량의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적응성이 높아지며, 진로적응성이 높을수록 진로장벽이 낮아짐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대학의 진로교육이 핵심역량에 기반한 교육과정에 따라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그 관련성을 규명함으로써 이에 따른 실천적 함의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및 전공에 따른 SUPER 핵심역량과 진로적응성 및 진로장벽 일부 요인에 있어 차이가 있어, 성별 및 단과대학별 핵심역량과 진로장벽의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대학은 대학생들에게 4차 사회에서 필요한 핵심역량을 성취할 수 있도록 교과 및 비교과 교육과정 을 통해 그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셋째, 대학생들의 핵심역량 강화와 향상을 위해서 스스로 부족한 핵심역량이 무엇인지를 인지할 수 있는 시스템과 이를 함양하기 위한 구체적 방법과 가이드를 대학생들에게 알리는 것도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UPER core competencies,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barriers, so that college students can recognize the linkage between core competencies for career development and education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SUPER core competencies,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barriers were measured for 309 university students at J University. The measured results were analyzed wi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the SPSS ver 25.0 and AMOS ver 25.0 program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me core competencies were higher among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high in medical science colleges, and low in business colleges. The age problem of career barriers was higher in male students and third year students, and the lack of job information, lack of interest and future anxiety were higher in medical science colleges and lower in culture and tourism colleges. Second, the ‘skewness’ and ‘kurtosis’ criteria were satisfied by verifying whether each variable satisfied the normal distribution. Also, the correlation of each variable showed that core competency and career adaptability had a positive relationship, core competency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career barriers, and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barriers had a negative relationship.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stimability and fit of the structural regression model for the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model, a good fit was shown, and the suitability of each variable was confirm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urth, the core competency for career adapt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had an explanatory power of 49.8%. Core competencies for career barrie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areer adaptability to career barri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had an explanatory power of 37.8%.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core competencies, the higher the career adaptability, and the higher the career adaptability, the lower the career barri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differences in some factors of SUPER core competency,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barriers according to gender and major. Thus, an approach to core competency and career barriers by gender and college is required. Second, universities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to college students through subjects and non-course curriculum so that they can achieve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societ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rd, in order to strengthen and improve the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it is also necessary for instructors to inform college students of a system that can recognize what core competencies are lacking, as well as to enlighten them on specific methods and guidelines for their cultivation.

목차

1. 문제의 제기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및 해석
5.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난(Lee, Nan). (2022).대학생의 핵심역량과 진로적응성 및 진로장벽의 구조적 관계. 교양교육연구, 16 (2), 437-452

MLA

이난(Lee, Nan).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진로적응성 및 진로장벽의 구조적 관계." 교양교육연구, 16.2(2022): 437-4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