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역량기반 교양교육의 교수학적 고찰

이용수 304

영문명
A Didactical Reflection on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백승수(Paek, Seungsu)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6권 제2호, 49~6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역량기반 교양교육의 교육적 타당성을 재검토하여 실천 가능성을 제고하고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이다. 역량기반 교양교육의 교육적 조건과 여건을 교수학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실제 적인 실천의 맥락에서 교육적 진정성 회복을 촉구하고자 하였다. 역량 개념이 직업교육적 맥락에서 대두되었다고는 하지만, 도입-확산-전환의 진화 과정을 거쳐 학교교육적 맥락으로 재개념화되고 있다. 역량 담론의 개념적 혼란을 극복하고 교육적 지혜를 모아야 할 시점이다. 역량개념은 교양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및 평가의 차원에서 교수학적으로 스며들어야 한다. 우선 교육목표의 차원에서 역량은 ‘좋은삶’을 영위하는 실질적인 힘으로써 교양교육 전반을 향도하여야한다. 내용적으로 교양 교과는 지식, 기능, 태도 및 가치가 탈경계적으로 녹아있는 역동적 총체로 재구조화되어야 한다. 방법적으로는 스스로 생각하고 자율적으로 행동하는 학생의 행위주체성에 기반하여 학습의 본질적 의미를 회복하여야 한다. 평가적 측면에서는 도구적이고 측정주의적인 형식적 진단에서 탈피하여 학생 개개인의 실존적 성찰을 이끌어내는 내러티브적 평가로 전환하여야 한다. 2500년을 이어온 교양교육은 자유교육의 재해석의 역사이다. 포스트 휴먼 시대, 포스트 코로나 사회는 새로운 교양교육을 요청한다. 역량기반 교양교육은 자유교육의 21세기적 지평을 넓혀나가는 교육적 변혁으로 거듭나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flects on the educational validity of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education, and aims to enhance its feasibility and secure its sustainability. It also aims to clarify the educational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of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education in a didactical manner, which ultimately attempts to encourage the recovery of educational authenticity in the context of actual practice. Even though the concept of competency emerged within the vocational training context, it has been re-conceptualized within the context of school education through the evolution of introduction-diffusion-transformation. Thus, it is time to overcome the conceptual confusion of competency discourse and to collect educational wisdom. The concept of competency should permeate into the pedagogical realm in terms of aims, content, methods and evalu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As to the educational aim, competency should guide the overall liberal arts education as the real power that drives ‘well-being’. Regarding its content, subjects 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be restructured into a dynamic whole in which knowledge, skills, attitude and values are all blended together in a trans-boundary way. In terms of methods, the essential meaning of learning should be based more on student agency, allowing for learners to think more for themselves and to act autonomously. Regarding evaluation, the conventional formal diagnosis, with its instrumental and measurement-focused approach, should be converted into a more narrative evaluation in order to draw each student’s existential reflection. Based on the past 2500 years of history, liberal arts education might be summed up with one word: reinterpretation. In the same spirit, the post-human and post-Covid era requests a brand-new liberal arts education.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be reborn as educational transformation that widens the prospect of liberal education in the 21st c entury.

목차

1. 서론
2. 역량의 개념사적 고찰
3. 역량기반 교양교육의 교수학적 조건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승수(Paek, Seungsu). (2022).역량기반 교양교육의 교수학적 고찰. 교양교육연구, 16 (2), 49-62

MLA

백승수(Paek, Seungsu). "역량기반 교양교육의 교수학적 고찰." 교양교육연구, 16.2(2022): 49-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