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로나 19 시기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불안이 스마트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86

영문명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anxiety on smartphone dependence during COVID-19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김성현(Kim Seong Hyun)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15호, 237~25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 시대의 상황에서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불안 및 그 하위요인들이 스마트폰 의존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이다.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이 지속되면서 부모들은 높은 수준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불안을 경험하게 되고 이로 인해 스마트폰에 의존하는 성향등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에 본 연구의 수행을 기반으로 팬데믹 상황에서 영유아기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불안이 스마트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축적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불안 및 스마트폰 의존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예측변인과 예측변인의 하위요인들이 스마트폰 의존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살펴보았다. 자료는 ‘단축형 양육 스트레스 척도’, ‘양육 불안 척도’, ‘스마트폰 의존 척도’를 사용하여 수집되었다. 모든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신뢰도, 적률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 불안, 스마트폰 의존 간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의존을 예측하는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양육 불안이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하위 요인별로 살펴 본 결과 양육 스트레스의 하위 요인인 자녀의 기질에 관한 스트레스가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그리고 부모의 고통이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마지막으로 양육 불안의 하위요인인 자녀와의 애착에 대한 불안이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부모의 양육관련 변수가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서 팬데믹 상황에서의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을 줄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해준 것으로 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ve influence of mothers of young children on parenting stress, parenting anxiety, and its sub-factors on smartphone dependence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era. As the COVID-19 pandemic continues, parents experience high levels of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anxiety, and this has led to a tendency to rely on smartphones. Therefore, based on the performance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basic data can be accumulated on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anxiety of mothers on smartphone dependence in a pandemic situation.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parenting anxiety, and smartphone dependence of mothers was analyzed. Also, the relative effects of predictors and sub-factors of predictors on smartphone dependence were examined.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Short foam of Parenting Stress Scale’, ‘Parenting Anxiety Scale’, and ‘Smartphone Dependence Scale’.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program. As for the analysis methods, reliability, 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parenting anxiety, and smartphone dependence. Second,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smartphone dependence, and parenting anxiety appeared as an additional predictor.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each sub-factor, stress related to the child s temperament, a sub-factor of parenting stress, was the strongest predictor, and parental pain was an additional predictor. Finally, anxiety about attachment to a child, a sub-factor of parenting anxiety, was appeared as an additional predic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sidered to have provided basic data to reduce mothers dependence on smartphones in a pandemic situation by revealing the influence of parental parenting-related variables in the corona pandemic situ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현(Kim Seong Hyun). (2022).코로나 19 시기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불안이 스마트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 안전문화연구, (15), 237-254

MLA

김성현(Kim Seong Hyun). "코로나 19 시기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불안이 스마트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 안전문화연구, .15(2022): 237-2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