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왕부지 『周易外傳』의 无妄卦 풀이와 道·佛 兩家 비판에 대한 고찰

이용수 96

영문명
A Study of Wang Fuzhi’s Commentary on Mumanggoe无妄卦 and Criticisms of Taoist and Buddhist in Juyeokoejeon 『周易外傳』
발행기관
한국동양철학회
저자명
김진근(Jin Kun Kim)
간행물 정보
『동양철학』東洋哲學 第56輯, 149~18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왕부지의 『周易外傳』에 드러난 无妄卦 풀이의 함의를 분석하고, 아울러 그가 이 풀이를 뒷받침한다고 볼 수 있는 그의 氣一元論에 대해 논구해 보았다. 본 논문은 먼저 왕부지의 무망괘 풀이를 다루되, 그가 무망괘의 괘상을 바탕으로 하여 ‘있음’과 ‘생함’, ‘길러냄’ 등의 의미를 끌어내며, 아울러 이를 ‘참됨’ㆍ‘망령됨 없음’ 등과 연관 지어 논하는 것을 다루었다. 이는 유가를 긍정의 논리로써 뒷받침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논문에서는 『周易外傳』의 풀이에 드러나 있는 道ㆍ佛 兩家에 대한 비판을 다루었다. 이들 兩家가 자신들은 없음[無]의 차원에 설정하고는 유가는 있음[有]의 차원에 있다고 보아서 卑下ㆍ조롱하는 것이 잘못이라고 함을 논하였다. 왕부지는 사실 이들이 이 세계에 대해서 잘못 보았다는 것이며, 그래서 이들이 오히려 망령되었다고 함을 구명하였다. 이는 왕부지의 이들 양가에 대한 비판, 즉 부정의 논리로써 유가를 옹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들이 왕부지의 기일원론에 의하여 了然하게 뒷받침됨을 논하였다. 왕부지는 太虛 속에서 음기ㆍ양기 두 氣가 상호 유기적 작용을 통해 거대한 조화[太和]를 이루며 無始無終으로 본체와 객형 사이를 왔다 갔다 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라 하고 있다. 말하자면 인간의 감각 능력으로서 있다고 보이는 차원[明]과 인간의 감각 능력을 넘어서는 차원이어서 없다고 여겨지는 차원[幽]이 모두 氣 하나의 세계로 환원된다는 것이다. 氣는 이들 두 차원을 관류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없음[無]이란 없이 세계는 모두 있음[有]으로 환원되며, 만물은 없음[無]과 있음[有] 사이가 아닌 어둠[幽]과 밝음[明] 사이에서 明滅한다는 것이 된다. 이것이 천지만물의 끊임없는 생겨남에 의해서 징험된다는 것이다. 또한 이것이 ‘망령됨 없음’의 실상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들 양가는 이를 제대로 보지 못하고 오히려 없음[無]을 전제로 유가는 있음[有] 차원에 있다며 비판ㆍ조롱하니 이들이 오히려 망령됨 속에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왕부지의 이러한 无妄卦 풀이가 궁극적으로 유학의 본령을 회복하고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것으로 재정립하고자 하는 『周易外傳』의 취지를 잘 살려내고 있다고 보고 논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I tried to reveal the covert meaning of Wang Fuzhi’s commentary on mumanggoe 无妄卦 and criticisms of Taoist and Buddhist in Juyeokoejeon 『周易外傳』. In addition, I discussed his gi monism 氣一元論 which supports this commentary. In the beginning, I examined Wang Fuzhi’s commentary on mumanggoe 无妄卦 in the perspective of ‘existence’, ‘producing’ and ‘breeding’ with regards of how to be ‘real’ and ‘non-irrationality 无妄’ based on pattern of mumanggoe 无妄卦. These support Confucianism with positive logic. Moreover, I dealt with Wang Fuzhi’s criticism of Taoism and Buddhism. Wang Fuzhi thought these two schools of study--Taoism and Buddhism have a major drawback, because they believe Confucianism is in the existence dimension 有, while their philosophy is in the nonexistence dimension 無. Wang Fuzhi argued that this misbelief was triggered by their wrong perspective of views. And, this led Wang Fuzhi to have an idea that they are irrational. This indicated that Wang Fuzhi supported Confucianism by rejecting Taoism and Buddhism with negative logic. Lastly, I demonstrated that these arguments from Wang Fuzhi was seamlessly supported by gi monism 氣一元論. Wang Fuzhi asserted that we are living in the world where the eumgi 陰氣 and yanggi 陽氣 are harmoniously interacting and come and go endlessly in the great emptiness 太虛. In a word, the lightness dimension 明 which is visible and the darkness dimension 幽 which is invisible on a human being’s sense ability coalesce into one in the great emptiness 太虛. Because the gi 氣 is traveling these two dimensions constantly. Therefore, the world becomes a existence dimension on the whole. So there are no nonexistence in the great emptiness 太虛. And, every existence will be existed and disappeared like blinking lights between the lightness dimension 明 and the darkness dimension 幽, not between the existence dimension 有 and the nonexistence dimension 無. These were experienced by the constant becoming of the everything under the sun. This indicated the true meaning of ‘non-irrationality 无妄’. Hence, the criticism of Confucianism from Taoism and Buddhism that Confucianism is in the existence dimension 有 rather than the nonexistence dimension 無 should converge to the fact that actually Taoism and Buddhism are irrational. This study indicated that, eventually, the purpose of Juyeokoejeon『周易外傳』 which is recovering the original meaning of Confucianism and responding to calls from times is well described in Wang Fuzhi’s commentary on mumanggoe 无妄卦.

목차

Ⅰ. 서론
Ⅱ. 『周易外傳』의 无妄卦 풀이 속에 드러난 ‘있음’론과 ‘无妄’論
Ⅲ. 『周易外傳』의 无妄卦 풀이에 드러난 道·佛 兩家 비판
Ⅳ. 『周易外傳』 无妄卦 풀이의 논거로서 氣一元論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근(Jin Kun Kim). (2021).왕부지 『周易外傳』의 无妄卦 풀이와 道·佛 兩家 비판에 대한 고찰. 동양철학, 56 , 149-180

MLA

김진근(Jin Kun Kim). "왕부지 『周易外傳』의 无妄卦 풀이와 道·佛 兩家 비판에 대한 고찰." 동양철학, 56.(2021): 149-1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