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탈냉전시대 포로수용소 영화 연구

이용수 61

영문명
A Study on a Movie of Prison Camp in the Post-Cold War Period: Focused on Last Witness and Swing Kids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전지니(Jun, Jeenee)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29집, 507~53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한국전쟁 이후부터 오늘날까지 포로수용소를 다룬 영화에 대해 짚어보며, 2000년대 이후 탈냉전시기의 한국영화가 전쟁과 반공, 그리고 냉전 구도를 사유하는 방식이 과거와 어떻게 차별화되는지 논의한다. ‘한국형 블록버스터’ <흑수선>(2001)과 <스윙키즈>(2018)의 경우, 제작 시기는 다르지만 한국전쟁 당시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현재와 과거를 오가며 수용소 안에서 벌어지는 이념의 투쟁 양상을 전경화한다는 점에서 공통분모를 갖는다. 2000년대 이전까지 포로수용소를 배경으로 한 영화는 당국의 정책적 방향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국방부로부터의 협조와 후원을 받았다. 반면 <흑수선>은 이념의 문제 대신 멜로와 미스터리를 전경화하고, <스윙키즈>는 휴먼코미디를 표방하며 수용소 내에서 빚어지는 다양한 갈등을 소재로 삼는다. 대중성을 강화한 두 영화는 포로수용소 내 스펙터클을 강화하면서 장르의 혼종을 도모하고, 상대적으로 이념 문제로부터 자유롭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스크린으로 옮겨진 1952년 포로수용소 내의 열전(熱戰)은 지금 현재의 관객에게 큰 감흥을 주지 못하며 흥행에 실패했다. 그렇다면 탈냉전시대 포로수용소 영화의 대중적 실패가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본고는 포로수용소 영화의 계보를 살피며 이상의 문제를 규명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Korean movies that have addressed “POW Camp” up to this day since the Korean War, and discusses about how the Korean film during the post-cold war period is differentiated a method of thinking the war, the anti-communism and the cold-war structure from the past. The Last Witness(黑繡扇)(2001) and Swing Kids(2018) of corresponding to ‘Korean-style’ blockbuster are different in the period of production, but are being set at the time of the Korean war. There is a common denominator with regard to foregrounding the ideological struggle that takes place in a camp with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A movie based on POW camp until before the 2000s had possesse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national policy of the authorities and was cooperated and sponsored b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On the other hand, The Last Witness foregrounds melodrama and mystery instead of the ideology matter. Swing Kids has a material as various conflicts arising within a camp with standing for the human comedy. Two movies, which strengthened popularity, are enough to be noted in terms of stepping up spectacle within POW camp, of promoting hybrid in genre and of freeing from the ideology issue. Nevertheless, a fierce fight(熱戰) within a camp in 1952, which was moved to the screen, ended in a box office failure while not giving an impression to the current audience very much. If so, what is an implication of a public failure in the movies of POW camp in the post-cold war period?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genealogy of the prison-camp films and to find out the problem which mentioned above.

목차

1. 한국전쟁과 포로수용소라는 이념의 접경지대
2. 2000년대 이전 거제도 포로수용소 영화의 계보
3. 한국형 블록버스터의 욕망과 2000년대 이후의 포로수용소 영화
4. 결론을 대신하여: 역사의 무게와 탈이념화의 가능성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지니(Jun, Jeenee). (2021).탈냉전시대 포로수용소 영화 연구. 구보학보, 29 , 507-539

MLA

전지니(Jun, Jeenee). "탈냉전시대 포로수용소 영화 연구." 구보학보, 29.(2021): 507-5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