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10년대 『태서문예신보』의 행복 담론

이용수 52

영문명
The Happiness Discourse Found in T’aesŏmunyeshinbo in the 1910s: Internalization of the Evangelical Christian Ethics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박슬기(Park, Seulki)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29집, 137~16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20년대 이후에 다양한 맥락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 ‘행복’ 개념은 3.1 운동 이전에는 본격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1918년에 창간한 『태서문예신보』』는 행복을 적극적으로 담론화하고 있어 주목된다. 계몽주의 혁명이 열어놓았던 행복의 정치적 조건, 즉 정치적 자유와 권리 선언이 불가능해진 1910년대 사회에서 ‘행복의 추구’는 도덕적 개인의 경제적 활동이라는 영역에서 운위된다. 발행인 장두철의 사설에서 행복은 성공한 미래에 얻어질 것이 아니라, 성공을 위해 투쟁하고 인내하는 삶의 모든 과정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미래를 믿으며 고통스러운 현재를 기쁨의 현재로 전환하는 마음의 자세이며, 이는 프로테스탄티즘의 성격을 지닌다. 그러나 금욕을 강조했던 프로테스탄티즘에서 장두철은 한 발 더 나아가, 미래의 성공을 부의 축적과 일치시키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구도라면 행복은 부자가 되는 과정에서 발견되는 것이다. 이러한 행복 추구의 자본주의적 성격은 19세기 미국의 복음주의 기독교의 것이다. 선교사들이 한국에 도입한 복음주의 기독교의 윤리는 『태서문예신보』의 행복 담론에서 내면화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concept of “happiness,” which was widely used in various contexts after the 1920s, was not in active use before the March 1st Movement. However, T’aesŏmunyeshinbo, which was first published in 1918, took a different approach and actively incorporated happiness in its discourse. In the society in the 1910s, when the political conditions of happiness introduced by the Enlightenment, that is, political freedom and declaration of rights, became impossible goals, the “pursuit of happiness” could only be realized in the realm of economic activities of ethical individuals. In his column, the publisher Chang Tuch’ŏl argued that happiness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attained in a successful future but that the process of fighting and enduring for success is itself happiness. What is important is one’s attitude of believing in the future and converting the painful present into a happy one, which was a characteristically Protestant idea. However, Chang Tuch’ŏl went a step further from Protestantism, which values abstinence, and displayed a tendency to reconcile future success with the accumulation of wealth. In this context, happiness can be discovered in the process of becoming rich. This capitalist nature of the pursuit of happiness can be found in evangelical Christianity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evangelist Christian ethics that were introduced by missionaries were being internalized in the happiness discourse of T’aesŏmunyeshinbo.

목차

1. 『태서문예신보』의 발간 정신으로서의 행복
2. 행복 개념의 프로테스탄트적 구도
3. 계몽적 성공담의 내적 논리-행복 추구의 자본주의적 성격
4. 행복과 성공담-복음주의 윤리의 내면화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슬기(Park, Seulki). (2021).1910년대 『태서문예신보』의 행복 담론. 구보학보, 29 , 137-164

MLA

박슬기(Park, Seulki). "1910년대 『태서문예신보』의 행복 담론." 구보학보, 29.(2021): 137-1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