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북(월북) 작가 전무길(全武吉)과 식민지 시기 언론·문화 네트워크
이용수 56
- 영문명
- Jeon Mu-gil, the writer who remained in North Korea after the 1945 liberation, and media-cultural network in the colonial era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저자명
- 김미지(Kim, Miji)
- 간행물 정보
- 『구보학보』29집, 11~4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20~30년대에 소설가, 기자, 잡지 편집인으로 활발하게 활동했던 황해도 출신의 작가 전무길(1905~?)은 수많은 월북/납북, 재북/귀북 작가들과 마찬가지로 오래 잊힌 이름이었다. 황해도 안악과 경성, 상해 등지를 종횡무진 하다가 해방 이후 북에 남은 그는 삶의 이력이 거의 드러나지 않은 작가이다. 이 글은 재북작가 전무길의 행적을 추적하면서 그를 둘러싼 인적 네트워크를 그려 보고자 한 것이다. 그는 안악에서 주로 활동하면서 명륜강습소 사건으로 두 차례 검거되기도 했고, 경성의 신문 잡지계에서도 활발하게 문필활동을 지속했다. 그의 이런 행보 뒤에는 황해도 출신으로 먼저 ‘중심’에 진출했던 동향의 선배들이 있었다. 또한 그가 창간한 잡지 『대조』의 필진들의 면면에서 그가 황해도 및 서북지역 그리고 휘문고보와 도요대학(東洋大學)의 인적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하면서 또 그 네트워크의 확대에 기여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글에서는 그의 조부가 김구와도 인연이 있던 황해도의 ‘개명(開明)한 군수’ 전봉훈이라는 사실을 밝히고, 그가 지역에서 조부의 유지를 이어가려는 사명을 놓지 않았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전무길은 카프 바깥의 변방 사회주의자의 길과 ‘자각한 지주이자 독지가’라는 상반된 길을 함께 걸어간 드문 사례로서, 식민지 시기 중심과 주변의 위계를 넘나들며 전방위적으로 활약한 문인의 존재론을 살피는 데에 주요한 참조점이 된다. 또한 그의 행로가 해방과 분단의 과정에서 어떻게 굴절되고 좌절되었는지를 살피는 일은 분단문학사를 고민하는 데에도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Jeon Mu-gil(1905~?), a writer from Hwanghae-do who actively worked as a novelist, reporter, and magazine editor in the 1920s and 30s, was a long-forgotten name, like numerous writers who chose(went to) North Korea after the 1945 liberation. This study aims to draw a human network surrounding Jeon Mu-gil while tracking his life and whereabouts. While mainly working as a socialist educator in Anak province, he was arrested twice for ‘violation of security’, and also actively continued his writing in various media in Gyeongseong. This study examined especially the writers of the magazine Dai cho(大潮), which he founded, and found that he actively utilized the human network in the Hwanghae-do(and northwest regions) and also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the network. This study also revealed that his grandfather was Jeon Bong-hoon, the “reformed county governor” who also had ties with Kim Gu, and he did not give up his mission to continue his grandfather’s tasks. Jeon Mu-gil’s life was that of a socialist on the periphery outside the KAPF and of “self-aware landlord.” Examining how his life and choice was refracted and frustrated in the process of liberation and national division could also have implications for contemplating the unified history of literature.
목차
1. 들어가며
2. 변방 사회주의자의 삶과 황해도라는 사회적 자본
3. 『대조』 필진을 통해 살펴 본 지연-학연 네트워크
4. 문인-기자(특파원)와 ‘안악(安岳)’의 유지(有志) 사이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탈냉전시대 포로수용소 영화 연구
- 재북(월북) 작가 전무길(全武吉)과 식민지 시기 언론·문화 네트워크
- 사민(私民)의 독서, 한반도의 지식
- 초월과 매몰
- 트러블을 일으키는 여성들
- 고정희 시와 ‘페미니즘의 급진성’
- 디스토피아의 유토피아
- 신모더니즘론 이후의 동아시아 모더니즘 연구
- 여성 인물의 질적 전회, 윤리적 주체로 거듭나기
- 80년대 학생운동 주체 서사의 대중화 전략과 그 한계
- 가족생애사문학과 기록영화에 나타난 도시개발과 불공정한 도시경험
-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속 게임 세계관의 내면화와 자율성의 훼손
- 가족의 초상
- 1910년대 『태서문예신보』의 행복 담론
- 1930년대 소설에 나타난 유모(乳母)의 재현 양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