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외된 아동들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책임감모형의 효과

이용수 14

영문명
Effects of Responsibility Model on Social Behavior in the Underserved Youth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이안수(Lee, Ansu) 강경진(Kang, Kyeongjin)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27권 제4호, 509~52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0.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책임감 모형의 폭넓은 현장 활성화를 위하여 소외된 지역 학교에 책임감 모형이 학생들에게 친-그리고 반-사회적 행동의 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 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들은 K도 J초등학교에 3학년 6개 학급 169명 중에서 조사에 불성실한 8명을 제외한 161명으로 구성하였다. 6개 학급 중 3개 학급은 책임감 모형 체육수업을 실시하는 실험집단(78명, 남=49, 여=29)으로 나머지 3개 학급은 교사 주도적인 체육수업을 실시하는 비교집단(83명, 남=50, 여=33)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 교사는 비확률 표집의 하나인 의도적 표본화 기법을 사용하여 선정하였으며 사회성 측정 도구인 친-그리고 반-사회적 행동에 관한 질문지 16문항을 초등학교 학생의 수준에 맞게 11문항으로 제작하였다. 사회성 증진을 위한 책임감 모형의 효과를 질적 방법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에 참가한 3개 학급의 실험 학급 학생 중 8명에게 심층 면담, 참여 관찰을 통한 현장 기록, 관련 문서 분석의 다양한 질적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들은 결손가정, 학업 능력, 문제 행동, 교우 관계에 취약한 학생들로 교사의 추천을 받아 구성하였다. 친사회성과 관련된 분석 결과는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친사회성이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반면, 반사회성 검사에서는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유의성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질적 연구에서는 친사회성과 반사회성이 모두 긍정적으로 변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책임감 모형으로 체육 활동을 한 결과 소외된 아동들의 친사회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친사회성이 그동안 이론적인 내용을 통해서 가르쳐지는 것이 아니라 체육 활동 안에서도 사회성 발달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단기간에 이루어졌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좀 더 긴 연구가 필요하며 지속적인 발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responsibility model on students pro-and anti-social behavior in underserved areas. 161 participants of J elementary school 3rd-grade students in K province were sele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responsibility model on students social behavior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ree classes comprised the experimental group to become the gym class for the responsibility model (78 students, 49 boys, 29 girls). The other 3 classes were used for comparison group, as a gym class controlled by a teacher (83 students, 50 boys, 33 girls). The interview group consisted of 8 males from a neglected class, who grew up in a parentless or single parent household and had problems with academic ability(study skills), behavior, peer relations and family background. They were given structured interviews consisting of 11 questions that were considered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s among 16 questions about pro-and anti-social behavior.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class records, an analysis of the related documen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of 8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ANCOVA in order to compare two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experimental group score higher in the pro-social behavior than that of the comparison group.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in anti-social behavior revealed no significanc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In the qualitative results both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 were changed positively for the 8 students. In further research, it is necessary to study on a more diverse group for a longer time period. Furthermore, this research only verified effects of the responsibility model for enhancing sociality. Again, in further research, it will be necessary to verify effects of the responsibility model on not only sociality but also various other area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안수(Lee, Ansu),강경진(Kang, Kyeongjin). (2011).소외된 아동들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책임감모형의 효과. 교원교육, 27 (4), 509-526

MLA

이안수(Lee, Ansu),강경진(Kang, Kyeongjin). "소외된 아동들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책임감모형의 효과." 교원교육, 27.4(2011): 509-5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