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도성방어체계의 추이와 禿山城의 위상변화

이용수 343

영문명
The Course of Capital City Defense System and the Change in the Stature of Doksanseong Fortress in the Late Joseon Period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신영문(Shin Youngmoon)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19號, 41~7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후기 도성방어는 국가 방어체계의 핵심이자 궁극적인 목적이었기 때문에 정치와 사회의 변동에 따라 도성방어체제가 변화해 갔다. 도성은 물론 인근의 산성들은 도성방어체계의변화에 따라 그 중요성이 변화했다. 이번에 검토한 독산성의 경우도 예외가 될 수 없었다. 도성자체의 방어력이 중시되면 될수록 독산성의 중요도는 낮아졌다. 이러한 상황은 조선 후기약화된 지방군영의 사정과도 관련이 있었다. 중앙군은 그 명맥을 계속 이어갔지만 지방군은일찍이 붕괴의 길을 걷고 있었다. 조선 후기 중앙정치의 변화와 도성에 대한 인식변화로 인해 도성방어체계가 변모해 갔다. 도성방어체계의 변화에 따라 독산성은 그 중요성이 증가하기도 혹은 감소하기도 했다. 인조- 숙종대 지방의 보장처를 강화하던 시기에는 붕괴된 국경방어체계를 대신해서 도성방어와 보장처 강화가 함께 추진되었다. 독산성과 같은 중소규모의 산성에 대한 관심은 자연 멀어지게되었다. 이시기 독산성은 수원부 중군의 휘하에 예속되어 있다가 별장이 파견되면서 지위가향상된 것으로 보았다. 군기의 강화와 군량의 확보가 추진되었고 봉수대의 신설이 논의되었다. 인조-숙종대 독산성은 수원 인근의 대표적인 관방으로 부상되어갔다. 영조대에는 집권초기 발생한 무신란의 영향으로 도성의 수비를 강화하는 도성사수론이 등장하는 분위기였다. 왕권 강화와 관련된 일련의 정비가 마무리되고 추진되었던 강화외성의축성이 실패로 돌아가면서 보장처 중심의 도성방어체계가 도성사수론으로 변화하였다. 외곽방어체계는 자연히 소홀해질 수밖에 없었다. 강화외성에 대한 축성실패로 인해 외곽산성이나보장처에 대한 관심이 줄고 적을 주요 간선도로에서 차단할 수 있는 읍성의 축성이 늘어갔다. 독산성은 이러한 분위기에 따라 영조대에는 이렇다 할 변화는 없었다. 정조대에 들면서 지방상업도시의 발달과 도성 외곽방어체계의 강화에 따라 4유수부체계가확립되었다. 수원화성과 같은 거점도시의 축성에 집중하게 되면서 도성에 대한 관심은 이전시기에 비해 줄어들게 된다. 독산성은 이시기 수원화성에 버금가는 군사적 중요성으로 말미암아두 성이 기각지세를 이루며 수원 유수부를 지키는 전략이 수립된다. 정조 16년 폭우로 인해성곽이 일부 훼손되었는데 복구를 통해 독산성은 면모를 일신하게 된다. 정조 승하 이후 장용영이 해체되면서 독산성의 전략적 활용도 감소하는 것으로 파악했다.

영문 초록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defense of the capital city was the core and ultimate purpose of the national defense system, thus changed according to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The importance of the capital city and the surrounding fortresse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apital city defense system. Doksanseong Fortress examined through this article is no exception. The Fortress declined in importance as the defense of the capital city itself became more important. This situation was related to the weakening of local army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central army remained in existence, while the local army was collapsing. Changes in central politics and the perception of the capital city in the late Joseon period brought a change to the capital city defense system. Doksanseong Fortress increased or decreased in importance along with the change in the system. During the period of reinforcement of local Bojangcheo(保障處) from the reign of King Injo to King Sukjong, defense of the capital city and the reinforcement of Bojangcheo were promoted together, instead of border defense system which was collapsed. Interest in small and medium sized fortresses such as Doksanseong Fortress has naturally declined. Doksanseong Fortress was under the command of Junggun(中軍) of Suwon-bu(水原府), however, seems that its status improved by the dispatch of Byeoljang(別 將). The reinforcement of military discipline and securing of provisions were promoted, and the establishment of a Beacon fire station was discussed. During this period, Doksanseong Fortress emerged as a representative military defense system in Suwon area. During the King Yeongjo period, the theory of capital city defense with the aim of reinforcing the defense of the capital city emerg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Musin Revolt(戊申亂) that occurred at the beginning of his reign. As the construction of the outer fortress of Ganghwa failed which was promoted after the completion of maintenance related to the strengthening of the royal authority, the defense system centered on Bojangcheo was changed to the theory of capital city defense. The outer defense system was gradually neglected. Due to the failure of the construction, interest in the outer fortress and Bojangcheo decreased, and the construction of Eupseong(邑城), which could block enemies from main arterial roads, increased. Following this trend, no remarkable changes occurred in Doksanseong Fortress during this period. From the King Jeongjo period, the Four Yusugbu(留守府) system was established with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ercial cities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capital city s outer defense system.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of the base city, such as Suwon Hwaseong Fortress, reduces interest in the capital city. During this period, Doksanseong Fortress was of military importance comparable to that of Suwon Hwaseong Fortress, and a strategy was established that the two fortresses protect Suwon Yusubu. In the 16th year of King Jeongjo, heavy rain partially damaged the wall, but the fortress was renovated through restoration. As Jangyongyeong (壯勇營) was dissolved after the demise of the king, the strategic utilization of the Fortress was also reduced.

목차

Ⅰ. 머리말
Ⅱ. 인조-영조대 도성방어체제 정비와 독산성
Ⅲ. 수원 유수부의 강화와 독산성의 위상변화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영문(Shin Youngmoon). (2021).조선후기 도성방어체계의 추이와 禿山城의 위상변화. 백산학보, (119), 41-70

MLA

신영문(Shin Youngmoon). "조선후기 도성방어체계의 추이와 禿山城의 위상변화." 백산학보, .119(2021): 41-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