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오산 독산성의 고고학적 연구

이용수 706

영문명
Archaeological Study on Osan Doksanseong Fortress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박현준(Park Hyunjune)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19號, 133~170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산 독산성은 임진왜란을 막아낸 호국의 정신, 그리고 정조대왕의 효심을 느낄 수 있는충과 효를 상징하는 대한민국 국가대표 산성이다. 이러한 가치를 일찍이 인정받아 사적제140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까지 관리되고 있다. 그러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복원된 성벽이 조금씩 훼손되면서 정비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에 맞춰서 정밀발굴조사도 진행되게 되었다. 본 고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오산 독산성에 대한 정밀발굴조사 성과를 간단하게 정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성벽의 축조시기와 남문 평탄지에서 확인된 축대 및 건물지 유구의성과를 살펴보았다. 약 3년 동안의 정밀발굴조사였지만, 제한적인 면적과 시간 등으로 인해서충분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성벽의 초축 및 수축 시기ㆍ변화양상, 그리고 남문 평탄지일대가 조선시대 관청이 있었는지에 대한 의문은 명확하게 풀리지 않았다. 이러한 의문점은 차츰 고고학 자료가 쌓여가고 있으니 반드시 풀릴 것으로 보인다. 독산성 성벽은 삼국시대에 처음 축조되었고, 통일신라시대를 거처 조선시대까지 필요에따라 지속적으로 수축하여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독산성이 처음 축조된 시기는 사용된성돌과 출토유물, 그리고 주변 성벽자료들과의 비교를 통해 6세기 후반~7세기 중반으로 파악하였고, 그 공간범위는 성 전역에 해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축은 삼국시대 성벽의 보수흔과인화문토기를 참고하여 통일신라시대부터 이루어졌으며, 이후 조선시대에 들어 도성인 한성을 방어하고자 대대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았다. 유물은 삼국~통일신라 시대 토기편(단각고배편, 인화문 토기편 등), 기와편(선문 등), 고려시대 도기편, 청자편, 기와편, 조선시대 도기편, 분청사기편, 백자편, 옹기편 등이 출토되어 시기를 판단하는데 좋은 자료가 된다. 특히, 조선시대 성벽과 관련된 문헌기록들이 다수 확인되고 있어 문헌기록과 고고학 자료의 만남이뜻깊게 이루어져 축조 및 수축시점을 파악하는데 그 객관성이 확보되었다는 점에서도 매우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관청 추정지로 추정되는 남문 평탄지 일대는 산성 내에 제한적인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축대를 쌓고, 그 상면에 건물지와 부대시설들을 축조하였으나, 유구들이 바닥만남아있어 정확한 성격을 파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관청으로서 기능을 했는지, 아니면 다른용도로 사용되었는지는 조금 더 발굴조사가 필요한 실정이다. 다만 건물지 내에서 벼루편등이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관청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충분히 있으므로 추후 발굴조사결과가 기대된다. 독산성에 대한 발굴조사는 이제 시작이다. 앞으로 남문 평탄지 일부, 세마대지, 그리고민가 추정지로 추정되는 서문 일대 등 계획적으로 발굴조사가 진행될 예정이어서 앞으로 그결과가 주목된다. 이와 더불어 문지나 치성 등 성과 관련된 시설도 추가로 확인되고 있어독산성의 진정한 가치와 진정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san Doksanseong Fortress is a representative fortress of Korea that symbolizes the patriotic spirit that prevented Imjin War and the filial piety of King Jeongjo. In recognition of its value, it was designated as Historic Site No. 140, and had been well maintained. However, the restored fortress wall was gradually damaged and required maintenance, therefore, a detailed excavation was conducted. This paper summarizes the results of detailed excavation on Osan Doksanseong Fortress from 2017 to 2019, and examines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fortress wall and the embankment and the remains of the building site identified in the flatland of south gate based on the excavation. Detailed excavation took about 3 years, but there has not been thorough investigation due to the limited area and time. The questions of timing of the initial construction and repairment, the aspect of change, and the existence of the Joseon government offices in the flatland of south gate were not clearly identified. However, these questions are expected to be resolved as archaeological data is gradually accumulating. The walls of Doksanseong Fortress, first constructed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are confirmed to had been continuously repaired and used as necessary from the Unified Silla to the Joseon period. The first construction period was identified from the late 6th century to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through the fortress stones, excavated relics, and comparison with data on surrounding walls, and the space range of the fortress is considered to be the entire area. Referring to the repairing traces of the wall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stamped pattern pottery(印花紋土器), repairments started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major repairments were made to defend Hanseong, the capital city of Joseon. The basis for estimating the period is the excavated relics: pottery pieces (cup with short legs短脚高杯 and stamped pattern pottery), roof tile pieces (lined roof tile) from the Three Kingdoms to the Unified Silla period; earthenware pieces, celadon pieces, roof tile pieces from Goryeo; earthenware pieces, Buncheong ware pieces, white porcelain pieces, Onggi pieces from Joseon. Several literature records related to the fortress walls of the Joseon are being confirmed, and it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the objectivity has been secured in grasping the time of construction and repairment by the combination of the literature records and archaeological data. In the flatland of south gate, which is estimated to be the government office s site, an embankment was built for the efficient use of limited space, and buildings and facilities were built on the embankment.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exact nature of buildings because only floors are left now. Further excavations need to be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it was used as a government office or for other purposes. It is possible that here was a government office as the inkstones were excavated. Therefore, the upcoming results of excavation should be noted. The excavation of Doksanseong Fortress has now taken its first step. An excavation survey is scheduled for the part of the flatland of south gate, the Semadae site, and the west gate area, which is believed to be a private house, so the results should be paid attention. Facilities related to fortress such as site of the gate and Chiseong(雉城) are also being confirmed, the true value of Doksanseong Fortress is therefore expected to increase further.

목차

Ⅰ. 머리말
Ⅱ. 성벽과 남문 평탄지 조사현황
Ⅲ. 성벽의 축조시기와 남문 평탄지 성격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현준(Park Hyunjune). (2021).오산 독산성의 고고학적 연구. 백산학보, (119), 133-170

MLA

박현준(Park Hyunjune). "오산 독산성의 고고학적 연구." 백산학보, .119(2021): 133-1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